논문 상세보기

치악산 국립공원의 거미상에 관한 보고

Faunal Study of Spiders from Mt. Chiak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985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거미류는 생물종 다양성의 위치뿐 아니라 포식성을 이용한 생태계 균형 유지와 천연 농약으로서의 기능, 거미줄과 독 등을 이용한 공업이나 의약품 재료 개발 그리고 기후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환경 지표종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본 조사는 절지동물 중 번성한 동물군의 하나인 거미류의 치악산 국립공원 내 주요 지역에서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치악산 국립공원은 강원도 원주시의 동부 지역인 소초면, 행구동, 반곡ㆍ관설동, 판부면, 신림면과 횡성군의 우천면, 안흥면, 강림면에 남북으로 걸쳐 있으며 조사 기간은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총 8회에 걸쳐 68개 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채집방법으로는 Sweeping, Beating, Sieving 등을 실시하였다. 채집된 개체들은 현장 기록 후 96% Ethanol에 넣어 보관하였고,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통해 생물의 동정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치악산 국립공원에서 서식하는 거미류는 모두 29과 109속 169종이 확인되었다. 치악산 국립공원에서 서식하는 거미류 중 종 구성이 풍부한 과 우점순위는 접시거미과 27종(15.9%), 꼬마거미과 21종(12.4%), 왕거미과 20종(11.8%)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분포로는 구북계(Palearctic spp.)가 13종(7.7%), 전북계(Holarctic spp.)가 6종(3.6%), 범세계종(Cosmopolitan spp.)이 3종(1.8%)이었다.

저자
  • 김재원(인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용근(한국동굴생물연구소)
  • 장규동(한국동굴생물연구소)
  • 정종철(국립공원관리공단)
  • 배양섭(인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인천대학교 생명과학기술대학 생물자원환경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