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과 도시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와 관련된 환경적 요인 조사 KCI 등재

The survey of environmental factors by questionnaries with refractive state of rural and urban elementary school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3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농촌과 도시 거주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경상남도 소재 농촌 지역의 3개 초등학교와 도시지역의 1개 초등학교에 다니는 166명의 어린아이(저학년 36명, 고학년 47명)를 대상으로 자각식 굴절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나안시력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0.75±0.34, 0.45±0.3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5.68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84±0.25와 0.54±0.37(t=4.088, p=0.000) 및 0.68±0.39와 0.39±0.38(t=3.989,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농촌학생(-0.52±1.02D)과 도시 학생(-1.60±1.80D)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86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14±0.48D와 -0.97±1.32D(t=5.048, p=0.000) 및 -0.81±1.21D와 -2.08±1.98D(t=5.051,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설문조사에 의한 시력 관리와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력 검사 주기는 농촌 학생은 74.7%가 `6개월~1년`, 도시 학생은 66.3%가 `6개월`이었으며, 시력검사 장소는 농촌 학생은 `학교`, 도시 학생은 `안과`가 가장 많았다. 평일 TV 시청 시간과 공부 시간, 전기스탠드의 사용 여부는 지역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거주 환경에 따라 시력 관리 실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영양제 복용, 컴퓨터 사용 시간, 전기스탠드의 위치, 공부 자세 책과의 거리, TV와의 거리 등은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시력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에 따른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시력관리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refractive state of rural and urban elementary schoolchildren. Methods: The subjective refraction and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to 166 children at 3 schools in rural and 1 school in urban Gyeongsangnamdo (low grade: n=36, high grade: n=47). Results: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75±0.34 in the rural and 0.45±0.38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54±0.37 in the rural and 0.84±0.25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68±0.39 in the rural and 0.39±0.38 in the urba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The means of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were -0.52±1.02D in the rural and -1.60±1.80D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14±0.482D in the rural and -0.973±1.315D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81±1.210D in the rural and -2.08±1.98D in the urba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Ther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survey for environmental factors having influence upon visual acuity as well as management of visual acu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ural and urban children, such as the period of refraction, place of visual function examination, the first time of glasses wearing, type of illumination on reading, studying time, and duration of watching TV on weekdays. Conclusion: Subnormal visual acuity(the prevalence of spectacle wearing and myopia) was greater as in the higher grade and in the urban children. It must be rel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an congenital factors. So multilateral vision care promo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subnormal visual acuity and keep vision care.

저자
  • 윤미옥(부산정보대학 안경광학과) | Mi-Ok Yun
  • 엄정희(마산대학 안경광학과) | Jung-Hee Eom
  • 마기중(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