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경광학과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안경사들의 요구도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demand for Opticians about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major curricul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3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안경광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영역별 주요 교과목에 대한 안경사들의 만족도, 직무적합성, 확대필요성을 분석하여 차후 교육과정 편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서울, 경기도, 전라도 지역의 안경사 경력 5년 이하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 응답자 27명을 제외한 19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영역별 교과목은 안광학, 안과학, 안경조제가공(조제가공, fitting), 검안학(굴절검사, 안기능검사, 양안시검사), 콘택트렌즈, 안경재료학의 6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설문자료의 측정은 리커트형 5단계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Anova 검사를 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e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6개 영역 이론 교과목의 만족도는 안광학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점수를 보이고 있었으며, 3개 영역의 실습 교과목(안경조제가공 영역, 검안학 영역, 콘택트렌즈)에서도 모두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 또한 이론 교과목이 실습 교과목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이론수업을 실습수업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교육과정에 관해 안경사들이 느끼는 직무적합성은 6개 영역 이론 교과목에서 이론만 있는 영역의 교과목보다 이론과 실습이 있는 과목의 직무적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개 영역의 실습 교과목은 절대점수(3점) 보다 높은 4.45로 조사되었다. 전공교육과정의 확대필요성은 6개 영역 이론 교과목 중 안경조제가공과 검안학만이 절대점수(3점)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3개 영역의 실습 교과목에 대해서는 모두 4점(필요하다)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3개의 실습교과목 영역 가운데 검안학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검안학 교과목 중에서도 굴절검사 실습 과목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안경사들은 전공교육과정에서 안경조제가공 영역과 검안학 영역의 이론 및 실습 과목을 확대하여 편성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굴절검사의 실습 교과목의 확대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Purpose: This research was practiced for provide a mental data an organization educational courses after analyzing optician`s satisfactory degree, relevance of duty and necessity of extension about major subjects at region of major educational courses of Ophthalmic Optics in the subjects of optician`s who working in the optical shop. Methods: By making up questionnaire of 220 person who had under 5year experience in working in Seoul, Gyeonggi-do and Jeolla-do, and selecting 193 person except 27 person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insincerely. And the major educational courses were classified into six regions: Ophthalmic Optics, Ophthalmology, Optical Dispensing & Fitting(Optical Dispensing, Optical fitting), Optometry(Refraction, Eye Examination, Binocular Vision), Contact lens and Ocular Optics Materials. We made use of the pattern Likert five-step index, and the collected data were inspected in t-test and Anova. Post verification was practiced in analyzing then in the method Scheff`e. Results: The satisfactory degree in 6 theoretical courses showed similar except Ophthalmic Optics, and the 3 practice courses(Optical Dispensing & Fitting, Optometry, Contact lens) got similar marks. Also it appeared that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oretical lessons than practical lessons in that the theoretical subjects got higher marks than the practical subjects. And the relevance of duty which optician`s felt about major educational courses was higher more in th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urses than in the only theoretical courses in the 6 theoretical courses. The 3 practical courses got 4.45 higher than the absolute mark(3). While necessity of extension about major educational courses showed that the marks of Optical Dispensing & Fitting, Optometry in the 6 theoretical courses only were higher than the absolute mark(3), those of the 3 practical courses were more than 4. The mark of Optometry was the highest of those of 3 practical courses, and the Refraction is the highest in the subject of Optometry. Conclusions: Opticians recognize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bjects of Optical Dispensing & Fitting and Optometry in the major educational courses must be extension, and they especially recognized necessity of extension of practical subjects in Refraction.

저자
  • 류경호(원광보건대학 안경광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