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정피로 개선을 위한 조절이완장치의 임상성능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Clinical Performance of accommodation release apparatus for improving asthenop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 안정피로 개선을 위해 고안된 조절이완장치를 사용하여 VDT 작업과 관련한 임상성능을 분석하 고자 한다. 방 법 : 성인 30명(26.5±4.8세)을 대상으로 조절이완장치(EK-075/30, 에스테크(주), 한국)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VDT 작업 전과 후 그리고 조절이완 장치를 착용 상태에서 VDT 작업 후에 굴절이상도, 원거 리와 근거리의 시력 및 수평사위도, 폭주근점, 조절근점, 양안 및 단안 조절용이성, 융합버전스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총 4단계의 설문을 통해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VDT 작업 관련 기본사항, VDT 작업 중 느끼는 자각증상, 기기착용과 관련한 사항을 설문하였다. 결 과 : 조절이완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VDT 작업 후 굴절이상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근거 리 시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거리 사위도와 근거리 사위도는 내사위 방향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조절용이성은 양안과 단안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절이완장치를 사용한 상태에서의 VDT 작업 후 굴절이상도, 원거리 시력, 근거리 시력, 원거리 사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 거리 사위도는 내사위 방향으로 증가하였고 단안 조절용이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 : 조절이완장치의 착용으로 VDT 작업 후의 일시적인 근시화와 내사위의 증가가 감소되고 조절용 이성이 증가된 결과로 보아 조절과 조절이완의 훈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조절이완장치의 착용이 근거리 작업과 관련한 안정피로를 경감시키고 근거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 To analyze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accommodation release apparatus at VDT task, which has been designed to improve the asthenopia. Methods : We examined the refractive error, near and distant visual acuity, negative and positive fusional vergence at near, near point of convergence, amplitude of accommodation, binocular and mo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for 30 subjects(mean age 26.5±4.8 years) without using accommodation release device(EK-075/30, STech, Co., kor.) and with using EK before and after VDT task. They were analyzed about their general health conditions, basic information in regards to VDT, detectible symptoms, and apparatus utilization related item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a 4-stage survey. Results : From the exam after VDT without EK, refractive error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near visual acuity reduced. The distance and near phoria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eso-phoria but binocular and mo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both. From the exam for after VDT with EK, refractive error also, distance and near visual acuity, distance phoria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near phoria also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eso, mo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VDT tasks with using EK, above transient myopia induced by nearwork and esophoria were shown as a decreasing growth. Accommodative facility resulting from the use of equipment rather seen as a result of increased accommodation and relaxation the effect of training that will feed. Conclusions : The visual functions were improved by wearing the accommodation release apparatus before and after VDT, and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wearing the device can lower chronic eye fatigue and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preference for using the device.

저자
  • 전인철(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In-Chul Jeon
  • 김학준(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Hak-Jun Kim
  • 노정훈(부산대학교 의공학과) | Jung-Hoon Ro
  • 이항석(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Hang-Seok Lee
  • 마기중(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