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시와 근시 어린이의 조절반응과 반응 AC/A 비의 비교 KCI 등재

Cp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s and response AC/A ratio In emmetropic and myopic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어린이를 대상으로 정시군과 근시군으로 분류하여 조절 자극량에 대한 반응량과 반응 조절성폭주 대 조절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1~13세(평균 12.17±0.70세) 어린이 58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으며, 자각식 굴절검사를 통해 정시군(28명)과 근시군(30명)으로 구분하였다. 조절반응은 개방형 자동굴절계 (NVision-K5001, Shin-Nippon)를 사용하여 양안시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근거리 시표를 50, 33, 25, 20 cm에 위치시켜 조절을 자극하였다. 결과: 조절 자극량에 대한 반응량을 함수의 기울기로 나타내었을 때, 정시군보다 근시군에서더 완만하게 나타났다(정시군: 1.01, 근시군: 0.82). 정시군과 근시군 모두 약 33cm 거리에서 조절 오차량이 최대로 나타났다. 반응 조절성폭주 대 조절비는 정시군보다 근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4.54, p < 0.05). 결론: 정시 어린이보다 근시 어린이에서 조절반응량이 더 낮았고, 반응 조절성폭주 대 조절비는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근시와 조절반응의 연관성을 알 수 있었으며, 근시안의 처방과 관리를 위 해 조절반응 검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with the accommodative responses and response AC/A ratio between emmetropic and myopic children, the slope of accommodative stimulus-response and the point of the maximum accommodative error were analyzed. Methods: Fifty-eight children aged from 11 to 13 years (mean: 12.17±0.70yr) were recruited, of whom 28 were emmetropes and 30 were myopes from subjective refraction. Accommodative responses were measured under the binocular viewing condition by using an open-field infrared autorefractor (NVision-K5001, Shin-Nippon). To measure accommodative stimulation, the near targets were located in 50, 33, 25 and 20 cm in front of the eye. Result: The slope of accommodative stimulus-responses for emmetropic group was steeper than that of myopic group (emmetropes: 1.01, myopes: 0.82). The maximum accommodative error distance in both emmetropic and myopic groups was 33 cm. The response AC/A ratio of myopi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mmetropic group (t = 4.54, p < 0.05). Conclusion: Accommodative responses were lower and the results of AC/A ratio were higher in myopic children group compared with emmetropic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associated with myopia and accommodation and it is recommended for myopia to take the accommodative response test for the prescription and care of myopia.

저자
  • 김현경(을지대학교 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Hyun-Kyung Kim
  • 이규병(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Kyu-Byung Lee
  • 김창진(건양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 Chang-Jin Kim
  • 백승선(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Seung-Seon Baek
  • 김흥수(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Heung-Soo Kim
  • 임현성(을지대학교 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Hyun-Seong Leem
  • 마기중(을지대학교 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