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대 이후 성인의 연령별 시기능 변화 연구 KCI 등재

Correlation Between Age and Visual Perform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20대 이후 성인의 연령에 따른 시기능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 법: 눈의 이상 질환과 전신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0명의 우세안을 기준으로 시기능 요소를 조절타 깃(근점봉), PD자, 그리고 포롭터를 사용하여 3회 반복 검사하였다. 결 과: 전체 연령 평균은 39.57±11.41세이고 남자 131명 39.56±10.50세, 여자 69명 39.58±13.06세이 었다. 우안 우세안은 168명(84%), 좌안 우세안은 32명(16%)으로 나타났다. 우세안에서 안구돌출도 13.62±1.07 mm, 근시도 –2.48±1.91 D, 원거리 외사위 3.51±1.78 Δ, 근거리 외사위 5.73±2.44 Δ, 폭주 근점 9.63±2.82 cm 그리고 조절근점 21.73±10.28 cm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원거리 외사위, 근거리 외 사위, 안구돌출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폭주근점, 조절근점, 원거리 내사위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근 거리 내사위도는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근시, 난시, 나안시력은 연령 의 증가와는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연령이 증가할수록 원거리 외사위, 원거리 내사위, 근거리 외사위, 폭주근점, 조절근점 그리고 안 구돌출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근거리 내사위는 감소하였고, 근시, 난시 그리고 나안시력은 연령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ge-dependent changes in visual function and phoria. Methods: A total of 200 patients (131 men and 69 women) without ophthalmological or systemic disorders underwent diagnostic interviews. The following elements of visual function were assessed in the dominant eye in triplicate using a control target (near point rod), a PD ruler, and a phoropter.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study group was 39.57±11.41 years(men, 39.56±10.50 years; women, 39.58±13.06 years). In 168 subjects(84%), the right eye (OS) was dominant, while in 32 subjects (16%), it was the left eye(OD). The mean dominant-eye exophthalmetry was 13.62±1.07 mm; myopia, –2.48±1.91 D; exophoria at distance, 3.51±1.78 Δ; exophoria at near, 5.73±2.44 Δ; near point of convergence, 9.63±2.82 cm;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 21.73±10.28 cm. Exophoria at distance, exophoria at near, and exophthalmetr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while near point of convergence,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nd esophoria at dista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lthough esophoria at near showed a decreasing trend with age, this failed to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Myopia, astigmatism, and naked vision were not affected by increasing age. Conclusions: Exophoria and esophoria at distance, exophoria at near, near point of convergence,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nd exophthalmetry were increased with age. On the other hand, esophoria at near was decreased, and myopia, astigmatism, and naked vision showed an even distribution regardless of age.

저자
  • 김근희(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Kuen-Hei Kim
  • 문혜경(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Hye-Kyoung Moon
  • 노혜란(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Hye-Ran N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