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직난시안에 대한 하루착용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디자인에 따른 축안정성과 자각적 만족도 KCI 등재

Orienta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According to 1-Day Toric Soft Contact Lens Desig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6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하루 착용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디자인에 따른 축안정성, 회전회복정도와 자각적 만족도를 각 각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 경험이 없는 대학생 20명(36안)을 대상으로 A렌즈(Accelerated Stabilization Design), B렌즈(Optimized Prism Ballast Design), C렌즈(Lo-Torque Prism Ballast Design)의 서 로 다른 디자인의 원데이 토릭소프트렌즈를 적응 전과 후의 축안정성과 렌즈 회전회복 정도를 각각 측정하였 다. 축안정성은 제 1안위에서 측정하였고, 회전회복정도는 코쪽과 귀쪽으로 각각 30°씩 회전시킨 후 순목에 의해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적응 후 측정은 렌즈 착용 5일 후에 실시하였다. 자각적 만족도(착용감, 건조감, 선명도, 충혈도)는 적응 전과 적응 후 설문조사(5점 척도)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착용 시간대별로 자각 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A렌즈는 코쪽 방향으로 B렌즈와 C렌즈는 귀쪽 방향으로 축회전을 보였고, A렌즈와 B렌즈는 적응 전에 비해 적응 후에 축안정성이 감소한 반면 C렌즈는 축안정성이 향상되었다. B렌즈 디자인은 순목 후 가 장 빠른 회전회복을 보였다. 착용 시간대별 자각적 만족도는 착용감, 건조감, 선명도와 충혈도에서 3개의 렌 즈 디자인이 별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 론: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축안정성을 위해서 일정한 적응기간을 필요로 하므로 토릭렌즈를 처방시 렌즈를 적응한 후 축안정성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orientation, re-orienta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according to the 1-day toric soft contact lens designs. Methods: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20 students (36 eyes) with no ocular health abnormalities and previous ocular surgery. They worn 1-day toric soft contact lenses with 3 different designs (A: Accelerated Stabilization Design, B: Optimized Prism Ballast Design, C: Lo-Torque Prism Ballast Design) for 5 days respectively and the orientation and orientation recovery were measured at initial and follow-up visits respectively. Lens orientation in primary position was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rientation recovery, the lens was manually rotated by 30° nasally and temporally and the amount of re-orientation after 12 blinks was measure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of comfort, dryness, visibility and redness was carried out at initial and follow-up visits and by wearing time on a scale of 1 to 5. Results: The “A” lens rotated nasally and the “B” and “C” lenses rotated temporally. The “C” lens achieved better orientation at the follow-up visit and the “B” lens showed the fastest orientation recovery.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by wearing time had little difference among 3 different toric soft contact lenses whereas the “A” lens had better initial comfort compared to others. Conclusion: In order to achieve stable orientation, certain time is required. Therefore, when the toric soft contact lenses are fit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orientation should be rechecked at the follow-up visit.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및 결 론
Reference
저자
  • 서채연(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Chae-Youn Seo
  • 유근창(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Geun-Chang Ryu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