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시시차 시표에 따른 원거리 및 근거리 자각적 교정 값의 비교 KCI 등재

The Comparison of the subjective associated phoria at near and distance by fixation disparity test char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6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시계침시표(ZEISS 사),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중심융합자극점 포함), 말렛시표를 사용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 수평, 수직방향의 주시시차 교정 값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조절기능이 정상이고 근거리 작업 시 안정피로 징후를 갖는 성인 19명을 대상으로 폴라테스트 (ZEISS사)의 시계침시표, 말렛 시표,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중심융합자극점포함)를 사용하여 원거리 및 근 거리에서 수평 및 수직방향의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값을 측정하였다.
결 과: 중심융합자극점이 있는 차트 프로젝터의 십자시표, 말렛시표, 시계침시표에서 측정한 수평방향의 원거리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값들은 각각 –0.62±0.27△, -0.32±0.23△, -0.44±0.22△으로 측정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7.321, p=0.002). 중심융합자극점이 있는 차트프로젝터의 십자시표, 말렛시표, 시계침시표에서 측정한 수직방향의 원거리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값은 각각 -0.10±0.11△, -0.09±0.12△, -0.12±0.11△으로 측정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0.381, p=0.685). 말렛 시표 및 시계침시표에서 측정한 수평방향의 근거리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값은 각각 –0.36±0.30△, – 0.50±0.31△으로 측정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625, P=0.017). 말렛시표, 시계침시표 에서 측정한 수직방향의 근거리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값은 각각 –0.08±0.12△, –0.10±0.11△으로 측정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91, p=0.042).
결 론: 본 연구에서 자각적 원거리 수평방향 주시시차 교정 값은 말렛시표와 시계침시표보다 중심 및 주 변부 융합자극이 더 약한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를 사용한 경우 가장 많은 외방 주시시차 교정 값이 측정되 었다. 또한 원거리 말렛시표와 시계침시표에서는 말렛시표보다 중심융합자극과 선의 간격이 더 큰 시계침시표를 사용한 경우 더 많은 외방주시시차 교정 값이 측정되었다. 자각적 원거리 수직방향 주시시차 교정 값은 원거리 수평방향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근거리에서의 자각적 수평 및 수직방향 주시시차 교정값은 말렛 시표와 시계침시표에서 원거리 수평 및 수직방향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시표를 사용하여 원·근거리에서 자각적 수평방향 주시시차 교정 값을 측정하는 경우 주시시차 검사시표 구성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왜냐하면 중심 및 주변부 융합자극의 위치 및 크기, 중심 융합자극과 선의 간격, 선의 길이 등은 검사 결과 값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the subjective horizontal and vertical associated phoria at near and distance measured using the Pointer test, Mallett test, Chart Projector cross test(with a central fusion lock).
Method: The subjective horizontal and vertical associated phoria at near and distance was measured using the Pointer test, Mallett test, Chart Projector cross test(with a central fusion lock) in 19 subjects who experience eye strain when reading text or perform near work and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normal accommodative function.
Results: Subjective horizontal associated phoria at distance measured using the Chart Projector cross test(with a central fusion lock), Mallett test, Pointer test were –0.62±0.27△, -0.32±0.23△, -0.44±0.22△ respectively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s(F=7.321, p=0.002). Subjective vertical associated phoria at distance measured using the Chart Projector cross test(with a central fusion lock), Mallett test, Pointer test were –0.10±0.11△, -0.09±0.12△, -0.12± 0.11△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s(F=0381, p=0.685). Subjective horizontal associated phoria at near measured using the Mallett test and Pointer test were -0.36±0.30△, –0.50±0.31△ respectively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s(t=-2.625, p=0.017). Subjective vertical associated phoria at near measured using the Mallett test and Pointer test were –0.08±0.12△, –0.10±0.11△ respectively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s(t=-2.191, p=0.042).
Conclusion: In this study, subjective horizontal associated phoria at distance showed the most exo FD findings when determined using the chart projector cross test, which has a weaker central and peripheral fusion stimulus than that of the Mallett test and Pointer test, also in the distance Mallett test and Pointer test showed more exo FD findings when determined using the Pointer test, which has a larger vertical gap between two nonius lines than that of the Mallett test. Subjective vertical associated phoria at distance showed the same tendency as horizontal at distance. Subjective horizontal associated phoria at near in the Mallett test and Pointer test showed the same tendency as horizontal and vertical at distance. Therefore, when subjective horizontal associated phoria at near and distance is measured using a device with different designs each othe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 constituting principle of fixation disparity test charts because the size and location of central and peripheral fusion locks, gap between the fixation point and the nonius line, length of nonius line, etc. have an effect on the results of the test.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Ⅲ. 결 과
  1. 원거리 수평 및 수직방향의 자각적주시시차 교정 값 비교
  2. 근거리 수평 및 수직방향의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값 비교
 Ⅳ. 고찰 및 결론
 참 고 문 헌
저자
  • 김현일(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Hyun-IL Kim (Departmen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