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기의 난시유병률 분석과 난시굴절력이 교정시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revalence Analysis of Astigmatism and the effect of Astigmatic Refractive Power on Corrected Vision in Growing Children and the You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6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기에 있어 난시유병률과 굴절이상도 분석을 통해 안보건 및 눈 관리의 필 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방 법: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만 5세에서 만 18 세의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 총 280명을 대상으로 난시 유병률, 난시굴절력, 난시축, 구면굴절력을 분석하 고 난시교정굴절력이 교정시력에 미치는 상관성을 SPSS 18.0을 이용하여 유의 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 과: 연령별 난시 유병률은 5-6세 50.0%, 7-9세 33.8%, 10-12세 48.8%, 13-15세 67.7%, 16-18세 63.4%를 나타내었고,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난시 유병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1.00D 이하일 때 구면굴절력이 큰 경우 교정시력은 0.93, 난시굴절력이 큰 경우 교정시력은 0.83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 었으며 교정시력에는 난시굴절이상도가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결 론: 난시는 교정시력에 영향을 주어 약시를 유발할 수 있기에 난시유병률 증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하여 국민의 안보건과 시력저하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a eye healthcare and eye care management through the prevalence of astigmatism and astigmatic refractive power in growing children and youth.
Methods: Study subjects were 5 to 18 years old 280 person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ocument 201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comparative analysis on correlation of prevalence of astigmatism, astigmatism power, astigmatism axis, spherical refractive power and cylinder refractive power by SPSS ver18.0.
Result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age group, the prevalence of astigmatism was 50.0% in 5-6ages, 33.8% in 7-9ages, 48.8% in 10-12ages, 67.7% in 13-15ages, 63.4% in 16-18ages, Corrected vision was 0.93 when spherical refractive was bigger than astigmatic refractive power and corrected vision was 0.83 when astigmatic refractive power was bigger than spherical refractive in less than C-1.00D. Astigmatic refractive power influenced more than spherical refractive power with corrected vision.
Conclusions: It is need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increase and prevalence of astigmatism, it is necessary for preventing worsen visual acuity and promoting eye health welfare to have more social interests and provide systematic device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난시의 유병률
  2. 구면굴절력과 난시굴절력의 평균값
  3. 난시축 종률에 따른 유병률 분포
  4. 구면굴절력과 난시굴절력이 교정시력에미치는 영향
 Ⅳ. 결 론
 참 고 문 헌
저자
  • 이완석(성덕대학교 안경광학과) | Wan-Seok Lee (Dept. of Optometry, Sungduk C. University)
  • 예기훈(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 Ki-Hun Ye (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