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의 배치특성 및 중요도 분석 - 전문가 설문 및 AHP 분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Public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 Based on an Expert Survey and AHP Analysis -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7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농촌사회의 소득수준 및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향상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에따라 정부도 최근 다양한 방식의 농촌개발과 예산지원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의 지원 시 시설의 종류 및 입지 선정이 적절하지 않아 시설의 중복투자, 이용부족으로 인한 시설방치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공간 및 시설의 분포를 분석하고 이들에 대한 농촌마을의 유형별 중요도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100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설문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 개의 농촌마을 유형 즉 거점면, 권역, 마을단위의 유형별로 주요 공공시설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50개 마을을 분석한 결과 농촌마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공공시설은 마을회관, 쉼터, 체험센터, 마을진입부, 안내시설로 나타났다. AHP는 세 단계의 비교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마을유형별간의 쌍대비교에서는 거점면, 권역, 마을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농촌 공공공간과 마을유형간의 쌍대비교에서는 모든 마을유형에서 기초생활시설, 문화 복지시설, 농촌관광시설, 소득시설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마을유형과 공공공간, 공공시설 등 각각의 가중치를 종 합한 중요도에서는 거점면의 경우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공동화장실, 마을회관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에서는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체험센터, 마을회관 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을단위에서는 버스정류장이 가장 중요한 시설로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저수지, 하수처리장, 체 험센터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록 마을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공공시설의 중요도 평가에는 한계를 안고 있으나 농촌마을에서의 공공시설 계획 시 마을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의 상대적 중요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 로 적절한 시설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ver the last decad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spent considerable funds planning and constructing public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to meet local demand.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over inappropriate facilities and building these so close to each other that their functions overlap.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relative importance of public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We conducted a survey of 100 experts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public facilities. We classified villages into three types: rural downtown, rural clustered, and Single - unit village.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abundant facilities were community centers, pocket parks, rural activity centers, village gates, and rural information signs. In downtown villages, public parking lots were assigned the highest importance by the experts, followed by water supply facilities, public restrooms, and community centers. This implies that downtown villages require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associated with visitor access and convenience, as well as basic living infrastructure. In clustered villages, public parking lots were rated highest, followed by sewage treatment plants, activity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This indicates that, like downtown villages, public parking lots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clustered villages. This is because government - led rural developments are focused primarily on promoting tourism and economic activities. In single - unit villages, bus stops were rated the highest, followed by reservoirs, sewage treatment plants, and activity centers. Single - unit villages in general have relatively poor access to public transit and our analysis confirmed that bus stops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other facilities in these villages. We believe that this study can provide a logical ground through which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erent kinds of public facilities can be understood and subsequently selected during the process of rural planning and development.

저자
  • Joohwan Suh(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서주환
  • Jin-Oh Kim(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김진오 Corresponding author
  • Byeonghwa Song(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 송병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