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과 제품 속성에 대한 사용자 반응 KCI 등재

User Responses to the Formats and Product Properties of Contents Advertised on Faceboo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최근 페이스북 광고의 마케팅 가치가 증가됨에 따라, 기업들은 브랜드 및 상품 홍보를 위해 성공적인 페이스북 광고제작 방안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과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의 시지각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변인 요인을 설정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 (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접목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이 사용자 반응(시지각 인지,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콘텐츠 포맷에 따라 차별화된 사용자의 시지각 인지 패턴과 구매 행동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 광고 제품속성의 경우 사용자의 구매 행동 반응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 로 광고 콘텐츠 제공자 혹은 개발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SNS 광고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As the marketing value of Facebook advertisements increases, companies seek to create successful Facebook advertisements in order to promote their brands or product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Facebook advertising factors that influence users' eye movements and attention, and thereby to investigate effective visual elements of Facebook advertising contents. Firstly, we identified two contributing factors influencing users’ responses to Facebook advertisements: the formats of advertising contents(Text, Text in Image, and Movie) and the product properties(Involvement, Think/Feel).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eye tracking tests and survey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these two factors affect users’ responses on Facebook, i.e. visual perception and users’ purchasing respons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stinctive patterns of users’ visual perceptions and purchasing behavioral responses according to the formats of the advertised contents. Meanwhile, the advertised products’ properties influenced only the users’ purchasing responses. Finally,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offer helpful guidelines for providers and developers to create effective SNS advertisements.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 페이스북 광고의 현황과 관련 연구
  2.1. 페이스북 광고
  2.2. 페이스북 광고 유형
 3. 광고 제품 유형과 사용자 반응
  3.1. 광고 제품 속성 유형: FCB 그리드 모델
  3.2. 광고에 의한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 AISAS 모델
  3.3. 광고에 대한 시지각 인지: 시선추적
 4. 실험 연구
  4.1. 실험 재료
  4.2. 실험 참가자
  4.3. 실험 방법
 5. 연구 결과
  5.1. 광고제품 관여도에 따른 광고 콘텐츠 포맷별사용자 반응 분석 결과
  5.2. 광고 제품 정보처리방식(이성/감성)에 따른 광고콘텐츠 포맷별 사용자 반응 분석 결과
 6.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우수진(공주대학교 미디어정책학과) | Su-Jin Woo
  • 김유진(공주대학교 영상학과) | Yu-Ji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