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적 배척과 소속 욕구가 사회적 사건의 정서 예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mpacts of social exclusion and the need to belong on the affective forecasting of social belong on the affective forecasting of soci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5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배척 경험과 소속 욕구 수준이 사회적 사건에 대한 정서 예측 및 정서 예측 오류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참가자들은 예비 연구를 통해 구성된 8가지 종류의 사회적 사건과 비사회적 사건에 대해 각 사건이 실제로 벌어진다면 얼마나 기쁠지 혹은 괴로울지에 대해 응답하였다. 연구 1에서는 사회적 배척 경험이 많을수록 또는 소속 욕구가 높을수록 비사회적 사건에 비해 사회적 사건이 가 지고 올 괴로움을 더욱 부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 2에 의하면, 사회적 배척 경험이 많 거나 소속 욕구가 높다고 해서 실제로 사회적 부정적 사건을 경험했을 때 더 괴로운 것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 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배척 경험이 많거나 소속 욕구가 높은 개인의 사회적 사건에 대한 민감한 정서 예 측이 그들이 사회적 사건으로부터 경험하는 실질적 괴로움이 더 크기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사건으로 인해 겪게 될 미래 정서를 과대 추정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nsity of affective forecasting and the size of affective forecasting errors of people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or those high in need to belong. In Particular, a series of studies was designed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 of the types of future events (i.e. social vs. non-social ev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the need to belong and affective forecasting.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or be high in need to belong showed significantly extreme affective ratings on the future social events compared to the future non-social events. Additional results suggested that more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r higher needs to belong did not affect to the affective ratings on the experienced social events, indicating greater affective forecasting errors of socially excluded people or people with higher need to belo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예비 연구
  2.1 연구 목적 및 대상
  2.2 최종 문항 선정 방법
 3. 연구 1
  3.1 연구방법
  3.2 연구결과
 4. 연구 2
  4.1 연구방법
  4.2 연구결과
 5. 논의
 REFERENCES
저자
  • 김애리(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 Aeri Kim
  • 손영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Young Woo Sohn
  • 임혜빈(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Hye Bin R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