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량 점검신뢰도 분석법 개발과 향상방안 KCI 등재

Development of Bridge Inspection Reliability and Improvement Strate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3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교량의 안전은 점검에 의해 보장된다. 그리고 교량의 유지관리는 점검결과를 토대로 시작된다. 따라서 점검결과는 ‘교량의 안전’과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점검신뢰도를 평가하고 이를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점검신뢰도를 평가 할 수 있는 세 가지 점검신뢰도를 제시하였다: 명목점검신뢰도, 실질점검신뢰 도, DS명목점검신뢰도. 교량의 점검신뢰도 분석 방법은 정밀안전진단결과를 참값으로 간주하고 당해년도 정밀(정기)점검과 차년도 정밀안전 진단결과를 비교하였다. 인적오류를 고려한 DS명목신뢰도를 기준으로 현재 고속도로교량의 점검신뢰도 85%로 양호한 편으로 평가 된다. 이 는 현재 고속도로 교량의 평균공용연수가 13년으로 대부분의 교량이 ‘A’와 ‘B’등급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상태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인 것 으로 판단된다. 점검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점검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전문점검인력 육성이 필요하며 점검결과에 대해 QC(Quality Control, 품질관리)를 실시하여 점검결과의 신뢰도 향상이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proposed three inspection reliability indices which compared inspection results evaluated at in-depth(routine) inspection and in-depth safety inspection; Nominal inspection reliability index, Real inspection reliability index, and DS nominal inspection reliability index. The methods to improve the inspection reliability were also proposed. Since bridge inspection process is critical to ensuring the safety of bridges and identifying repair and maintenance needs, the quality of the inspection data produced from the inspection process is very important. Consequently, the inspection reliability indices were suggested to evaluate quality of current inspection practices. Specifically, approximately 85% of inspection errors evaluated by the DS nominal inspection reliability index are within 1 rating grade(equal to or less than damage score ±0.1). In order to improve the inspection reliability, transportation agency should implement QC(Quality Control) practices and develop professional expertises of inspectors by higher requirements for inspectors, on-off line inspection training and etc.

목차
1. 서 론
 2. 한국과 미국의 교량 점검현황
  2.1 한국의 교량 점검
  2.2 미국의 교량점검
 3. 교량의 점검신뢰도 분석 방법
  3.1 점검신뢰도 분석 및 대상
  3.2 점검신뢰도 방법론
  3.3 점검신뢰도 분석 결과
 4. 점검신뢰도 향상 방안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정유석(정회원,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Yo-Seok Jeong
  • 김우석(정회원,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 Woo-Seok Kim 교신저자
  • 이일근(정회원, 도로교통원구원 구조물연구실 책임연구원) | Il-Keun Lee
  • 이재하(정회원, 한국해양대학교 건설공학과 조교수) | Jae-Ha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