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품)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차세대사용자 의식조사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User Attitude of Plexible Display Device Marke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598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6.46.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2000년대 사회 전반적으로 의료, 건강,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전자기기 디자인 융합기술, 인포테인먼트 및 게임디자인 융합기술, 산업 및 군사 디자인 융합기술 등에 적용된 사례개 발 또한 급속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스마트기기의 형태가 ‘소지’에서 ‘착용’형태로 확정되어가는 시점에서 등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관련 산업분야별 신시장 창출과 미래 신성장 동력엔진의 먹거리, 차세대 일자리 창출 의 필요성으로 당면하고 있는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차세대사용자의 의식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R&D 기술과 디자인 융합연구 개발의 방향성 탐색의 단초 및 그 흐름을 제시하는데 그 배경과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동향과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을 행한다.
둘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미래의 주사용자 즉, 차세대 집단의 의식조사 분석을 통한 태도연구를 실시하 여 미래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시장에 대한 선도적 개발 방향과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향후의 실증적 자료로 활 용한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차세대 의식조사 연구는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설문응답의 기술통계로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설문조사를 위해서 조사계획, 설문지, 표본추출, 본 조사, 자료입력, 자료 분석 등의 전 과정에서 가장 적절한 통계적 방법인 크론바흐 기법 을 이용한 신뢰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셋째, 설문대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차세대 주 사용자인 수도권 20대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접 형태로 조사되었으며 설문항목은 정보 이해도, 관심도, 흥미욕구 정도, 구매욕구 정도, 구매용도, 구매요인, 구매부위, 비구매 요인, 구매 시 보완요인, 보완요인 해결 시 최종 구매의사 등이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이해도, 관심도, 흥미욕구 정도, 구매욕구 정 도, 구매용도, 구매요인, 구매부위, 비구매 요인, 구매 시 보완요인, 보완요인 해결 시 최종 구매의사 등 문항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긍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각 문항 간 신뢰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문항 간 상관관계 또한 독립적 이지 않고 연관이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또 주사용자인 차세대 집단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비구매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가격과 디자인, 인터페이스, 기능 등 특히, 가격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n the 2000s, flexible display is considered to expand in various areas of society, including medical service, health, and infotain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apply rapidly flexible display to digital devic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infotainment and gam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and industrial and military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In particular, flexible display devices appearing at the time when smart devices type changed from 'belonging' to 'wearing' are accepted to be the best alternative to solve national impending issues, such as the creation of a new market in each industrial area, the drive engine for the future new growth, and the creation of the next-generation jobs. From the perspective, the pur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next-generation users' perception in order to create the new market of flexible display,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inding the direction of the future flexible display R&D technology and design convergence R&D.
The study method and scope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lated work and theoretical research are performed to find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 of flexible display and to predict the expected effects.
Secondly,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next-generation users of flexible display devices and their attitude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material necessary for setting the direction for the leading development of futuristic flexible display devices and establishing a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survey on the next-generation users' perception of wearable devices is descriptive statistics of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Questionnaire. For reliable and valid questionnaire survey, Cronbach's technique which is the most proper statistical method for all processes, including survey plan, questionnaire, sampling, main survey, data input, and data analysis, was applied.Based on tha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nalyzed.
Thirdly, the study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80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who are the main next-generation users of flexible display devices. They had person-to-person in-depth interview. The questionnaire items include information understanding, interest, a degree of interest desire, a degree of purchase desire, purchase purpose, purchase factor, purchase region, non-purchase factor, something to improve in non-purchase cas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improved.
The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he questions about information understanding, interest, a degree of interest desire, a degree of purchase desire, purchase purpose, purchase factor, purchase region, non-purchase factor, something to improve in non-purchase cas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improved, they answered positively regardless of gender, and their answ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iability of each question was high. The correlation between questions was not independent, but was fou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non-purchase of the next-generation users were found to be price, design, and interf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연구경향 및 기대효과
 3. 차세대 사용자 태도조사
  3.1. 설문조사집단 기본사항
  3.2. 설문조사집단 문항별 빈도수와 통계적유의성, 내적 신뢰도
  3.3. 설문조사집단 문항별 상관관계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철호(서경대학교 이공대학 교수) | Lee, Cheol Ho
  • 정형기(서경대학교 교양학부 통계전공 교수) | Jung, Hyeong G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