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사부, 삼척 출항의 재조명

The review of Isabu’s departure form the Samcheok 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194
  • DOIhttps://doi.org/10.16897/isabu.2016.11.0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5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이사부 장군은 신라의 옛 영토를 탈환하기 위하여 육로로 진격하였고, 실직성을 탈환하여 지증왕 6년(505) 실직군주가 되었다. 실직군주로서 신라의 숙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북진을 잠시 멈추고 실직에서 이사부 함대를 제작하였다. 이사부 함 대는 실직의 오십천 하류 정라진에 만들어졌는데, 당시 동해안 전체를 보아도 이만한 조건을 갖춘 자연항은 없었다. 정라진 건너불은 우산국과 거리가 가깝고 정 동방향이며 송림으로 싸여있어 파도와 외부의 적으로부터 안전하였다. 또한 인근에서 선박재료를 오십천 강물을 이용하여 쉽게 옮길 수 있으며 배후도시인 실직 성과 실직 제일의 갑자평야가 있었다. 이런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사부 장군은 북진정책을 잠시 멈추고 왜구의 피해를 막고 동해의 제해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산국 정벌을 먼저 계획하였다. 이 계획은 지증왕의 명령이었는지 아니면 이사부장군의 전략인지 알 수 없지만, 우산국을 복속시켜 공물을 바치게 하였고 신라의 숙원인 왜구의 피해도 막을 수 있었으며 동해의 제해권을 확보하여 신라 가 북진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단초가 되었다. 1500년 전 울릉도로 간다는 것은 명령과 유망, 표류 셋 중 하나일 것이다. 이사부가 지혜 많은 젊은이고, 우산국 정복이 신라의 숙원사업이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추론해 본다. 삼국시대의 선박 발달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확인하기 어렵지만, 과연 이사부 전선은 어떻게 생겼을까? 전선에는 돛을 달았을까? 이사부 장군도 이 문제로 선박 기술자들과 많은 토론을 하였으리라 생각된다. 당시 신라 전선은 돛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이사부 전선은 신라 전선 최초로 돛을 달았을 것으로 예측된다. 목우사자를 계획할 이사부 장군이라면 당연히 비밀병기인 전선 제작에 다른 나라의 최신정보를 수집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산국을 정벌하기 까지 6~7년이라는 오랜 기간이 걸렸는데 여기에는 전선을 만들기 위하여 여러 번의 시행착오도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사부 장군은 실직에서 전선을 만든 후, 하슬라를 탈환하여 국경을 넓히고 하슬라 군주가 되었다. 그 후 군사와 군비를 보충하여 실직의 군사와 함께 512년 6월, 이사부 전선에 목우사자를 싣고 가서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이사부 장군의 우산국 정벌은 우산국을 복속하여 공물을 얻는 것 보다, 동해의 제해권을 확보하고 신라의 숙원인 왜구들의 침략을 근절 시켰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남해의 이순신 장군이 23전 23승의 불패 신화와 거북선의 신화가 있다면, 동해의 이사부장군은 한 번의 승전으로 200년간 신라를 평온케 한 목우사자의 신화를 창조하였다. 이사부 장군의 현명한 판단과 지략이 오늘날 울릉도의 부속 도서인 독도와 함께 12해리의 영토와 200 해리의 경제수역을 갖게 되었다. 우리는 이 영토를 한 치의 어긋남 없이 우리의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한다.

Commander Isabu’s troops made an attack through an overland route to retake the Shilla’s territory which had been captured by the enemy, Gogureo. He bdcame the ruler of the Siljik province after retaking the province during the king Jijeung’s year in 505. While his army halted attacking for northern territory for a short time, he built fleets of warships to solve a deep-rooted enmity of the Shilla dynasty.
Isabu’s fleets were stationed in Jeonglajin which was locat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Oship river. After searching all over the east coast, he realized no natural port was better than Jeonglajin. The Jeonglajin sand field which faced the east sea and is located near Usan-guk, was safe form enemies and waves because it was surrounded by pine trees. And behind it, there was Siljik’s castle and the fertile Gapja field. In addition, troops were capable of carrying materials for warships by making use of the Oship river. Commander Isabu planned to subjugate Usna-guk at first to defeat the Japanese raiders and make of securing the command of the sea. Because of this condition, he halted his policy for attacking the north for a while.
Even though it is not exactly known whether king Jijeung ordered this plan or Isabu made this strategy, it was an important factor to march for the northern border of Shilla kingdom. As a result, Shilla dynasty governed Usan-guk, defended from Japanese invasion, made sure of control on the East sea.
It would be one of three things, that is order, drifting, flight from his own country to go to Uleung-do 1500 years ago.
Isabu was supposed to be one of the intelligent youths, and conquer of Usan-guk was a long-cherished desire of the Shilla kingdom. Though it cannot be confirmed whether the fleets of the warship was put a sail or not, because lack of historical records, Admiral Isabu would have discussed about sailing with technical experts. Even though it is recorded that the Shilla warships did not set sails, the Isabu’s fleets were supposed to set their sails. Isabu was supposed to gather new informations about foreign countries’s weapon to make wooden lions. It took 6~7 years to conquer Usan-guk. While he was preparing building warships, it was supposed to undergo reaped trial and error.
Isabu built the fleets of warships at Siljik, he was appointed the ruler of Haseula after retaking the province. He conquered Usna-guk loading wooden lions on the warships with his navy forces and military preparedness in June in lunar calendar of 512. The subjugation of Usan-guk by Isabu was more meaningful to make sure of ruling the East Sea and got rid of the Japanese raiders than to take a tribute from the island country.
One thing was the Turtle Ship myth that admiral Lee Sun-shin had a succession of victories 23 times in the South Sea, the other was Isabu creating the Wooden lion myth that he made the Shilla kingdom a peaceful country for 2 centuries. We now have Uleung-do and Dok-do which is and adjunctive island of Uleung-do. We have a 12 nautical mile territory and 200-mile economic water zone due to the wisdom and strategy of Isabu.
We must preserve it and then pass it down to our descendants without ceding and inch of territory.

목차
Ⅰ. 머리말
 Ⅱ. 이사부 함대 출항지
  1. 이사부 함대(異斯夫艦隊) 출항지 여건
  2. 쿠로시오 난류와 코스모스 해류병
  3. 이사부 함대 제작지 정라진
 Ⅲ. 이사부 전선(異斯夫戰船)과 이사부 함대(異斯夫艦隊)
  1. 우산국의 상황
  2. 정보수집에 따른 전략
  3. 이사부 전선과 이사부 함대 규모
 Ⅳ. 맺음말
 ❚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효웅(이사부기념사업회 기획이사 (해양모험가)) | Lee Hyo-yo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