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대 동해안의 교통과 삼척

The traffic and Samcheok in Korean Anci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196
  • DOIhttps://doi.org/10.16897/isabu.2016.11.0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이 글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삼척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의 동해안 교통로를 살펴본 것이다. 동해안 교통로는 선사시대에 이미 개설되었다. 선사인은 동해안을 따라 백두산 일대의 흑요석을 동해안 중부 지역인 지금의 고성, 양양, 양구 등지로 운반하였다. 그 뒤 신라는 1세기 초반부터 2세기 후반까지 포항과 삼척 일대에 자리한 소국을 점령하면서 동해안 남부의 교통로를 중부까지 개설하였다. 또한 고구려가 지방 지배를 위해서 운용하였던 동해안 북부의 교통로를 장악하면서 동해안 북부 지역의 진출을 꾀하였다. 그 결과 6~7세기에 신라는 전국을 효율적으로 지배하려고 하면서 점차 동해안 교통로의 효율적인 운용을 도모하였다. 신라의 동해안 교통로는 수도 왕경에서 지금의 포항-영덕-울진-삼척-강릉-양 양-고성-안변-이원으로 연결되는 北路였다. 다만 초기에 동해안을 따라 영역을 확대하면서 특별히 삼척을 주목하였기에, 북로의 중심지로 삼척을 고려하였다. 삼척이 속한 명주는 곡성군, 야성군, 유린군, 울진군, 나성군, 삼척군, 수성군, 고성군, 금양군 등으로 편제되었는데, 동해안과 바로 접해 있는 백두대간의 큰 산줄기를 고려할 때, 백두대간의 서쪽에 자리한 곡성군, 나성군 등까지도 명주 관내에 포함하였다. 이것은 신라가 지금의 강원과 경북 내륙 지방을 남북으로 이으면서 삭정군과 정천군에 이르는 관도인 ‘삭주로’와 동해안 교통로를 잇고자 하였기 때문 이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태백과 정선으로 진출할 수 있는 삼척은 주목되었다. 삼척은 양양, 강릉, 흥해, 영일 등지와 함께 동해안 일대에서 비교적 넓은 평지가 분포한 곳이다. 특히 바닷가에 연접하였으면서도 오십천 유역의 들판과 함께 오십천을 통해서 낙동강 상류는 물론 남한강 상류로 진출할 수 있었다. 신라 말에 궁예는 원주에서 주천, 영월, 평창을 거쳐 울진으로 나아가 영역을 확대하였다. 당시 원주에서 울진으로 나아가는 교통로는 자연지리적 조건을 고려할 때, 정선으로 나아가 백복령을 넘은 뒤, 삼척을 거쳐 울진에 이르는 길이었다. 궁예가 삼척을 거쳐 울진에 이른 것은 당시 동해안의 가장 중요한 군사기지였던 북진이 삼척에 자리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삼척을 아우른 뒤 강릉을 점령하고서 세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신라의 동해안 교통로에서 삼척은 동해안 교통로를 제어하면서 한편으로는 낙동강과 남한강 상류를 통해서 여러 지역으로 인적 ․ 물적 자원을 유통할 수 있는 중심지였다.

This writing looked into a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n Ancient age mainly with Samcheok on the basis of existing research result.
The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was established already in prehistoric times. Along the eastern coast, people in prehistoric times transported obsidian of Baekdusan region to Goseong, Yangyang, and Yanggu area, the central area of the eastern coast. Later, from the early 1st century to the late 2nd century, Silla occupied a small kingdom situated in present Pohang and Samcheok region and then, it extended the southern traffic route to the central area in the eastern coast. While Silla seized the traffic route which Goguryeo operated for district control, it also seized a traffic route to advance to northern part of the eastern coast. In the 6th - 7th century, Silla gradually sought efficient operation of a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the whole country.
Silla's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was a northern road connecting from the capital Wanggyeong to the existing Pohang-Yeongdeok-Uljin-Samcheok-Gangneung–Yangyang -Goseong-Anbyeon-Yiwon. However, expanding its realm along the eastern coast in the beginning stage, it specially paid attention to Samcheok and therefore, it considered Samcheok as a center of the northern road. Myeongju to which Samcheok belongs was organized as Gokseong-gun, Yaseong-gun, Yurin-gun, Uljin-gun, Naseong-gun, Samcheok-gun, Suseonggun, Goseong-gun, Geumyang-gun but Gokseong-gun and Naseong-gun located in the west of Baekdudaegan were also included considering the big range of Baekdudaegan immediately adjacent to the eastern coast. This was because Silla attempted to connect 'Sakjuro' which was a road between Sakjeong-gun and Jeoncheon-gun, and a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while it connected inland areas of existing Gangwon and Gyeongbuk from north to south. In such process, Samcheok also got attention because Silla could advance to Taebaek and Jeongseon.
Samcheok is a place with a relatively vast flatland in the eastern coast along with Yangyang, Gangneung, Heunghae, and Yeongil. Especially, it connected to seashore and could advance not only to Nakdong River upstream but also to Namhangang River upstream through Oshipchen and basin of Oshipchen field. At the end of Silla age, Gyungye stayed at Wonju and expanded its realm to Uljin through Jucheon, Yeongwol, and Pyeongchang. Considering geographical condition from Wonju to Uljin at that time, the traffic route was to going to Jeonseon, crossing Baekbok-ryeong, passing Samcheok, and to reach Uljin. Reason why Gyungye reached Uljin by way of Samcheok was because Bukjin, the most important military base in the eastern coast, was situated in Samcheok. Having embraced Samcheok, he could occupy Gangneung to expand his power. Samcheok was the center to distribute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to many other areas through Nakdong River upstream and Namhangang River upstream controlling the Silla's traffic route of the eastern coast.

목차
Ⅰ. 머리말
 Ⅱ. 동해안 교통로의 개설
 Ⅲ. 동해안 교통로의 운용과 삼척
 Ⅳ. 맺는 말
 [ABSTRACT]
저자
  • 張日圭(국민대학교) | 장일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