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합과 분리를 통해본 가·무·악(歌·舞·樂)의 역사적 흐름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Historical Flow of Ga·Mu·Ak through Integration and Sepa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9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이 연구는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해 조상대대로 전승되어온 한국 문화 양식을 탐색하고 그동 안의 고정된 전통예술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식의 전환을 꾀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문화예술은 사회 환경이 변화하면서 세분화되었고 그 시스템은 총체적 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의 총체예술인 가·무·악(歌·舞·樂)의 세부적 본질에 대한 이 론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부적으로 가·무·악의 이론적 개념을 짚어 본다. 그리고 종합예술형태의 가·무·악에서 가(歌)와 무(舞)와 악(樂)의 분리, 변화양상을 시대적으로 보고 자 한다. 마지막으로 역사 속에서 종합예술 형태로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항장무(項莊舞>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종합예술 형태로 공연되는 정동극장 <미소- 춘향연가>을 통해 종합예술을 활용하여 문화상품으로 발전된 사례를 검토해 보도록 한다. 20세기 이후 점차 과거 예인(藝人)들이 설 무대가 점점 줄어들면서 한국 전통문화 양식 또한 흔들리고 있다. 이제라도 예인들의 삶 속에 내재되어 있는 기교적·정신적 원류를 우리는 정밀하 게 탐색하여야 한다. 가·무·악의 세요소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짐은 장르간의 벽을 허물고 우리 예술양식을 받아들임에 이질감을 없앨 수 있다. 이제 서양의 공연양식의 틀에서 벗어나 우리만의 전통예술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적인 공연양식을 발전시켜 세계 속에 유일한 우리만의 공연양식으 로 문화 패러다임을 바꿔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Korean cultural style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 the 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 and attempt a shift to new consciousness out of the old fixed view of traditional art. Today, culture and art are being segmented due to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with their systems going through changes in entirety. In spite of those developments, however,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theoretical research on the detailed nature of Gamuak, a total art form of Korea. The present study thus looked into the theoretical concepts of Gamuak in details and traced the separation and changes of Ga(songs), Mu(dances), and Ak(music) from the total art form of Gamuak. Finally, the study examined “Hangjangmu” transmitted in the form of total art in history and reviewed the cases of utilizing total art and developing it into cultural products with “Miso-Chunhyangyeonga” currently being performed at Chongdong Theater in the form of total art. The stages set for the old performers have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the 20th century with the style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eing shaken. It is time to minutely investigate the origin of techniques and spirits inherent in the lives of the performers. The total harmony among the three elements of Gamuak will help to 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genres and get rid of heterogeneity associated with the acceptance of the traditional artist styles. It is time to take interest the unique traditional art of Korea beyond the Western framework of performance styles, develop Korean-style performance styles, and create a cultural paradigm with the unique performance styles of Korean in the world.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가·무·악에 관한 이론적 개념 이해
Ⅲ. 가·무·악의 문화사적 배경
1. 종합예술 형태의 가·무·악
2. 가(歌)와 무(舞)와 악(樂)의 세분화/전문화
Ⅳ. 가·무·악의 새로운 양상, 통합과 분리
1. 가·무·악이 한국춤문화에 미친 제양상-항장무
2. 가·무·악이 한국춤문화에 활용된 사례-정동극장
<미소-춘향연가>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영숙(단국대학교 무용학과 박사수료) | Yun Young-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