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흑산 니질대 코어퇴적물에서 산출된 규조를 이용한 고환경 연구 KCI 등재

Paleoenvironmental Research Using Diatoms from Core Sediments in the Heuksan Mud belt,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3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흑산 니질대에서 채취한 코어 퇴적물 HMB-103으로부터 규조를 분석하여 3개의 규조 군집대를 설정하였고, 산 출된 한랭수종과 온난수종, 염분도에 의해서 고환경을 해석하였다. 규조는 총 41속 76종이 감정되었으며 규조 개체수 농도는 0.1-15.4×104 g−1 의 범위에 해당된다. 연구 결과, 약 45,000 yr B.P.경까지의 규조 군집대 I에서는 한랭수종의 산 출이 많은 것으로 보아 한국연안류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며, 14,000부터 11,646 yr B.P경까지의 규조 군집대 II는 규조 의 산출이 거의 없는 추운 시기(Younger Dryas)로 생각된다. 그러나, 11,646 yr B.P부터 홀로세까지의 규조 군집대 III 시기에는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황해 난류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Three diatom assemblage zones were erected from HMB-103 core sediment of the Heuksan Mud Belt.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s were reconstructed basing on diatom analyses using indicator species, cold and warm water species, and salinity. Seventy-six species belonging to 41 genera were identified in the core sediments. The number of diatom valves per gram of dry sediment ranged from 0.1 to 15.4×10 4 g−1 . As a result, diatom assemblage I in about 45,000 yr B.P showed a high abundance in cold species indicating a major influence by the Korea Coastal Current. Diatom assemblage II from 14,000 to 11,646 yr B.P is characterized by rare abundance and indicative of the cold periods at Younger Dryas with the lower sea-level. However, diatom assemblage III from 11,646 yr B.P to Holocene was more affected by the Yellow Sea Warm Current while the progressive sea level rise.

목차
서 론
 연구 지역 및 연구 방법
 결과 및 토의
  규조 군집
 고환경 해석
 결 론
 References
저자
  • 장태수(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34132,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4) | Tae Soo Chang
  • 박영숙(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54896,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 Young-Suk Ba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