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한민국 제1공화국에서의 교회와 국가간의 갈등에 대한 연구 -국기 배례 거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Conflict between Church and State during the First Korean Republic - Focusing on a boycott against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972
  • DOIhttps://doi.org/10.22254/kchs.2017.47.0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이 연구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 속에서 태극기에 대한 국기 경례 방식으 로 인해 발생한 교회와 국가 간의 첨예한 갈등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해방을 맞이한 직후인 미군정기부터 한국 사회에서 시행된 국기 경례 방식 은 세이케이레이, 번역하여 최경례, 흔히 배례라고 불리우는 일본식 경례 방식이었다. 한국 기독교는 이와 같은 국기 배례에 대하여 민족적으로는 일제의 잔재라는 측면, 신앙적으로는 우상 숭배라는 측면, 종교적으로는 미신적이라는 측면 등 세 가지 이유 때문에 거부하였다. 이러한 국기 배례 거부 움직임은 해방 직후부터 손양원 목사를 필두로 해서 장로교회가 주도 하였다. 그렇지만 국기 배례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이 수립되면서, 국가 지 상주의 혹은 민족 지상주의의 일환으로 한국 사회에서 더욱 강력하게 시행 되었다. 다시 말해 대종교인으로 초대 문교부 장관이었던 안호상이 종교의 식이 아닌 국가의식이란 명분하에 더욱 강력하게 시행한 것이다. 이렇게 국기 배례가 자리한 한국 사회에서 가장 빈번하게 시행된 공간은 일선 학 교들이었다. 이로 인해 특히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교회에 출석하는 유년 주일학교 학생들이 국민학교에서 시행하는 국기 배례를 거부함으로 인하 여 수난을 당하였다. 그런 가운데 장로교를 넘어서 한국기독교연합회에서도 국기 배례에 대 한 거부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렇지만 궁극적으로 한국 기독교가 동일한 목소리를 낸 것은 아니었다. 특히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를 종교의식이 아 닌 국가의식으로 받아들였던 감리교는 일제 강점기의 신학과 신앙 전통을 계승하여 국기 경례에 대해서도 종교의식이 아닌 국가의식으로 간주하였 다. 그리하여 국기 배례든, 혹은 국기 주목례든 간에 어느 것도 무방하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 직후, 1950년 4월 25일에 국기 배례 폐지 건이 국무 회의에 상정되었다. 국무회의에서는 국기에 대한 배례를 국기에 대한 주목 례로 변경하였다. 이와 같은 국기 경례 방식 변경은 이승만 대통령의 지원 이 결정적이었다. 이처럼 이승만 대통령이 지원하게 된 것은 지금까지 알 려진 바와 같이 한국 기독교의 지속적인 국기 배례 거부 운동도 한몫했지 만 지금까지 한국 기독교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두 수난 사건들이, 제 각각 그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개연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 하나는 국 기 배례 거부로 인하여 감옥에 수감되었던 안중섭 전도사의 수난과 또 다 른 하나는 국기 배례 거부로 인하여 위천교회 주일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이 겪은 대환난이다. 이 두 가지 수난 사건 모두 이승만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제각각 수난 해결을 위한 인적 연결 고리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설득 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국기 경례 방식에 대한 변경은 국 기 배례 거부로 인한 수난 속에서 그 해결 방안의 결과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is a study about the sharp conflict between Church and State, arising from the way of the Ceremony of Saluting the National Flag during the reign of the First Korean Republic. Since the period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which was begun immediately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on August 15, 1945, the way of the Ceremony of Saluting the National Flag which Korean society had was seikeilei, that is, the most respectful salutation in translation, as Japanese style salutation, which is called worshipping. Korean Christian launched a boycott against Japanese styl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because of such three reasons as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ethnically, idol worship in Christian faith, and the superstitious belief religiously. Such boycott against the Ceremony of Saluting the National Flag was led by Korean Presbyterian Church, with Rev. Son Yangwon who was at the head of them ever since the Liberation Day on August 15, 1945. However,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as the First Korean Republic was established, was carried out more powerfully in Korean society as a part of national supremacy or racial supremacy. In other words, Mr. Ahn Hosang, who was the first Minister of Education of Korea as a religious man of Tangun(Korea's traditional religion), carried out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under the moral obligation of national ceremony, not as a religious ceremony. And the place where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was held most frequently was schools which were in the front line. By doing so, the elementary students of Sunday schools, who were attending the church all over the country, went through suffering sporadically when they opposed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which was carried out in the elementary school. Meanwhile,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beyond the Presbyterian church, launched a boycott against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However, Korean church couldn't speak with one voice in the long run about this matter. Especially, Korean Methodist churc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had accepted Shinto Worship as a national ceremony rather than as a religious ceremony, regarded the Ceremony of Saluting the National Flag as the national ceremony instead of the religious ceremony by inheriting the theology and the tradition of Christian belief of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Korean Methodist Church announced their view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and the Ceremony of Paying Attention to the National Flag. Immediately thereafter, On April 25, 1950, a case to cancel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was brought up for discussion to the State Council. The State Council changed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into the Ceremony of Paying Attention to the National Flag. For the change of the Ceremony of Saluting the National Flag, President Lee Seungman had a crucial role. The reason why President Lee Seungman supported the change of the Ceremony was partially based on the movement of continuos boycott against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by Korean Christian, but there also raises a possible theory that two passion stories which were previously unknown to Korean Christian might have a crucial role to lead this change separately. Concerning passion stories, one is the passion story which is related to an evangelist(Jeondo-sa), Mr. Anh Jungsup who was confined in prison because he refused to perform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and the other is the greater passion story in which students and teachers of Wicheon church had suffered because they refused to perform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Since both of these two ordeal stories including President Lee Seungman's effort suggest a causal connection in related to the solution of each suffering, the view that the change of ceremony was due to these two passion stories is persuasive. In thi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for us to say that the change of the Ceremony of Saluting the National Flag was resulted from the effort to solve the problem in the midst of suffering caused by the Ceremony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lag.

저자
  • 고성은(목원대학교) | Ko, sun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