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Suryukjae(水陸齋)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Centering around the Character of the Funeral and Memorial Ceremony and the Distinction from Mucha-daehoe(無遮大會)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9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고는 인도의 시아귀회(施餓鬼會)를 수용한 중국의 수륙재(水陸齋)가 독자 적인 내용과 목적으로 변용된 양상과 함께, 그것이 고려에 전래되어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의 유행에 문화적 기반이 된 추이를 개괄한다. 또한 조선전기에 이 르러 전사회적으로 크게 유행하게 된 수륙재의 설행양상을 그 대상과 목적을 중심으로 살피어, 조선전기에 국가주도적으로 거행된 수륙재가 조상 등 특정 영 가의 천도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식 상제례(喪祭禮)로 수렴되어 간 면모를 밝힌 다. 마지막으로 무차대회(無遮大會)의 개념적 차별성을 주목하여 조선전기에 일 반적으로 인식되었던 수륙재와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것이 조선 중기 이후 ‘여 제(厲祭)’라는 유교식 국가제사로 대치되거나 민간불교를 중심으로 하는 독자적 방향으로 변모해 간 흔적을 조망한다.
조선전기 수륙재는 특정 또는 불특정 망자에 대한 불교적 구제를 목적으로 설행되었다. 그 각각을 대표하는 것이 왕실의 조상(祖上)을 대상으로 하는 불교 식 상제례로서의 수륙재와 고려 왕씨를 위한 추천(追薦) 수륙재이다. 그 중에서 도 전자가 더 중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불교식 상제례의 경우 국가의 강력 한 개입 하에 칠칠재, 백일재, 소상재, 대상재, 그리고 대상 이후의 기신재가 모 두 수륙재로 합설되었으며, 이는 수륙재가 불교식 상제례의 의례적 형식을 이루 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불교식 상제례로서의 수륙재 이든 불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천 수륙재이든, 그 모두가 국가의 강력한 주도 하에 제도화되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단에 대한 국가권력의 강력한 개입은 전통시대 동아시아 3국의 공통적인 특징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 불교에 강하게 보이는 특징이라는 평가가 최근 학계에서 힘을 얻는 추세이다. 조선전기 수륙재의 제도화와 정비 과정에서 보이는 국가권력의 막강한 관여 역 시 그 같은 평가에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다.
무차대회란 수륙재의 내용을 이루는 한 축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개념적으로 무차대회와 수륙재는 분리될 필요가 있다. 조선전기의 수륙재가 특정 망자 특히 조상의 천도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변용될 때, 무주고혼을 포함하여 저승과 이 승의 모든 존재들을 평등하게 풀어먹이는 데 목적을 둔 무차대회는 그와 차별 적인 모습을 띠며 독자적으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조선전기의 수륙재가 어느 순 간 주자가례(朱子家禮)와 여제(厲祭)라는 막강한 유교적 의례질서로 빠른 속도 로 대체되고 국가주도적 수륙재 설행의 전통이 단절된 이후, 무차대회는 다시 불교식 상제례의 양상과 함께 수륙재의 성격 일부로 흡수되어 민간의 불교신행 을 중심으로 하여 전사회적으로 유행하게 되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situation that China had developed suryukjae(水陸齋) in its own contents and purpose from Indian shiagui-hoe(施餓鬼會), the ritual to feed pretas(餓鬼), and the process that suryukjae was transferred to Goryeo(高麗). This paper also finds out the fact that suryukjae was popular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朝 鮮) and controlled by national power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royal ancestors go to Buddhist paradise(極樂). In other words, suryukjae was performed as a kind of Buddhist funeral or Buddhist memorial ceremon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Finally, this paper confirms that mucha-daehoe(無遮大會) needs to be distinguished from suryukjae.
Suryukjae was carried out to save the souls of the dead, whether they were specified or not. Joseon dynasty performed suryukjae for their ancestors as a kind of standard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on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for the Wangs, the royal family of Goryeo, massacred by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The former seemed to be more important. The point is that the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were performed in the form of suryukjae and that the form was systemizes by the powerful leading of the national state. The strong intervention of the national state in the process of systemizing the form of suryukjae showed the relationship of the State and the Buddhist Order in Joseon period. In the period, the Buddhist Order, namely Buddhism as a religion, was overwhelmed by the State power.
Mucha-daehoe was a kind of Buddhist festival to feed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regardless of the living and the dead. So many people have thought suryukjae and mucha-daehoe were the same ritual, namely the two words were the synonyms of one case. But mucha-daeho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uryukjae. The two were different, I think, at leas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Mucha-daehoe has been replaced by yeoje(厲祭), the Confucian ritual to comfort the ghosts without descendants, officially by the leading of the national state also. So suryukjae as a kind of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and mucha-daehoe as a kind of Buddhist festival were integrated in the folk Buddhism. Now, the grand ritual confusing suryukjae and mucha-daehoe, namely the complex ritual confusing the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and the festival, has prospered in the folk Buddhism after the middle era of Joseon.

목차
들어가며
Ⅰ. 인도 시아귀회(施餓鬼會)의 중국적 변용과 고려의 수륙재 수용
Ⅱ. 조선전기 수륙재의 유행과 설행 목적
Ⅲ. 무차대회(無遮大會)의 변모: 여제(厲祭)의 국가사전화와 민간 무차수륙회의 흥성
맺으며: 시대적 특수성을 고려한 수륙재 정의의 재고
저자
  • 민순의(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객원연구원) | Min, Sun-eu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