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죄책감과 수치심의 억제가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Suppressing Guilt and Shame on Moral Judgment, Intention, and Behavi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9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정서는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으로 구성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방법을 통하여 도덕적 정서인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에 도덕적인 판단, 의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도덕과 관련된 정서가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덕과 관련된 정서(죄책감, 수치심)와 정서의 억제(억제, 대조집단)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죄책감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되어있지만, 도덕적 행동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다시 말해, 죄책감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지문에 묘사된 도덕적인 상황을 더 도덕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도덕적 행동에 대한 의도가 높았다. 반면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하지 않았지만, 도덕적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였 다. 수치심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실제 도덕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본 연구는 비연속적 정서이론을 적용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 도덕적 의사결정 단계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Emotion is considered to be involved in the moral decision-making process consisting of moral judgment, moral intention, and moral behavio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istinct role of two specific moral emotions, guilt and shame, when they are suppressed, on moral judgment, moral intention, and moral behavior through an online experiment. Moral emotion (guilt vs. shame) as well as suppression of these emotions (suppressing vs. control) was manipulated to infer the causality of moral emotions and the moral decision-making process when they are suppressed. The results suggest that suppressing guilt was involved in moral judgment and moral intention, but was not involved in moral behavior. In particular, participants who maintained guilt evaluated moral vignettes as more moral and perceived that they would follow the behavior described in the vignettes than those participants who suppressed their guilt. On the other hand, our data showed that suppressing shame was not involved in moral judgment and intention but was in behavior. Participants who maintained shame engaged in moral behavior more than participants who suppressed shame. We delineate the different mechanisms between guilt and shame on the moral decision-making process with the discrete emotion theory.

저자
  • 한규은(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Kyueun Han
  • 김민영(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Min Young Kim 교신저자
  • 손영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Young Woo So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