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순물소모량 개념에 의한 제주도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 및 평가 KCI 등재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using net water consumption concept in Jeju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0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수자원 계획 및 운영을 위한 수요량을 추정하는데 있어, 실제 이용 추세를 반영한 생활용수나 공업용수와 달리 농업용수는 용수공급시설의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론이 주로 적용되어 왔다. 이는 불가피하게 농업용수의 과다추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전체 수자원 계획의 관점에서 각 용도별 용수 수급계획의 불 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론과 비교하여 순물소모량 개념의 접근방법의 차이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를 제주도 전역에 적용하여 농업 용수 수요량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요량 산정에 핵심적인 인자인 증발산량의 정확한 추정을 위하여 SWAT 모형을 적용하고, 제주도 지역의 지형 및 기상, 유 출, 물이용 특성을 반영한 유역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물수지 결과와 비교하여 모델링 자료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과거기간(1992~2013년)에 대해 제주도 전체의 수요량은 연간 427 mm로 분석되었으며, 동부와 서부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요량을 나타내었다. 유역면적 30 km2 이상인 10개 하천유역에 대해서도 연평균 수요량 및 계절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장래 2020년 지역별 작물재배면적을 적용하여 10년 빈도 가뭄에 대응한 수요량을 산정한 결과 기존 제시된 수요량 대비 54%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요량 산정목적에 따른 접근방법의 차이로 인해서 나타난 결과로서, 수자원 관 리 및 운영의 관점에서 보면 순물소모량만큼의 추가적인 수요가 예상되지만, 실제 공급의 관점에서는 기존 수요량만큼의 시설계획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방법론 및 결과의 실무 활용을 위해서는 공학적인 검증은 물론이고 정책적‧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합리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estimate the demand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operation,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size of water supply facilities has been mainly applied to agricultural water, unlike living and industrial water, which reflects actual usage trends. This inevitably leads to an overestimation of agricultural water and can lead to an imbalance in the supply and demand of each use in terms of the total water resources plan.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of approaches of concept of net consumption was examined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method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were analyzed by applying it to whole Jeju Island. SWAT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which is a key factor in estimating demand, and watershed modeling was performed to reflect geographical features, weather, runoff and water use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For the past period (1992~2013), demand of Jeju Island as a whole was analyzed as 427 mm per year, and it showed a relatively high demand around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al regions. Annual demand and season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10 river basins with watershed area of 30 km2 or more were also analyzed.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ltivated area of each crop in 2020 in the future, it is estimated that the demand corresponding to the 10-year frequency drought is 54% of the amount demand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pproach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demand calc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and operation, additional demand is expected as much as the net consumption. However, from the actual supply perspective, it can be judged that a facility plan that meets the existing demand amount is necessary. In order to utilize the methodologies and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n practice, it is necessary to make a reasonable discussion in terms of policy and institutional as well as engineering verification.

저자
  • 김철겸(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Kim, Chul Gyum (Hydro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 김남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Kim, Nam Won (Hydro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