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queous Extract on the Visual Function KCI 등재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추출물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8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추출물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방 법 : 실험은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고 등가구면 굴절이상이 –3.00D 이상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차즈기 추출물과 대조군인 위약(placebo)을 각각 복용하고, 그로부터 2시간 후에 스마트폰으로 근 거리 작업(VDT)을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시기능(폭주근점, 조절력, 조절용이성)은 차즈기 추출물과 위약 을 복용하기 전과 후 각각 검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평균 폭주근점을 비교한 결과,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 했을 때는 –0.86 ±0.16 cm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1.23±0.75 c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평균 조절력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했을 때는 우안 +1.80±2.66 D, 좌안 +1.58±2.54 D, 양안 +1.83± 2.53 D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고,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우안 -0.78±2.27 D, 좌안 -1.27±2.04 D, 양안 -0.84±1.30 D로 조절력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평균 양안 조절용이성 에서는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했을 때만 +1.27±2.41 cpm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 론 : 차즈기 추출물을 이용한 검사에서 모양체근의 이완과 수축 작용에 도움을 주어 유의하게 폭주근 점 증가를 억제하고 조절력과 양안 조절용이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차즈기 추출물이 조절에 관여 하여 조절 기능 수행에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queous extract (PFA) on the visual function. Methods: The experiments included 30 male and female with no eye disease and systemic diseases and over –3.00 D of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Each Subject took PFA or placebo as a control group. After 2 hours later, they were directed to perform visual display terminal (VDT) work with a smartphone for 2 hours. The visual function(near point of convergence, accommodative force, accommodative facility) was analyzed before and after taking the extract and placebo. Resul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n of near point of convergence, it decreased significantly by -0.86 ± 0.16 cm in the PFA group, and increased by +1.23±0.75 cm when the placebo was applied. When comparing the mean accommodative force, it increased significantly by +1.80±2.66 D in the right eye, +1.58±2.54 D in the left eye, +1.83±2.53 D in both eyes when the extract was applied, and decreased significantly by -0.78±2.27 D in the right eye, -1.27±2.04 D in the left eye, -0.84±1.30 D in both eyes when the placebo was applied. In the mean of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only when taking PF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to +1.27±2.41 cpm. Conclusion: In the study, i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ontrolling the growth of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increasing accommodative force and binocular accommodative by helping the ciliary muscles to be relaxed and contracted. It would be thought that PFA was engaged in the accommodation and helped to perform the accommodation.

저자
  • Kyeong-In Jeong(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경인
  • Jaeyong Kim(전라남도 천연자원연구원) | 김재용
  • Chul-yung Choi(전라남도 천연자원연구원) | 최철웅
  • Geun-Chang Ryu(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유근창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