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 탐색을 위한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Ballet Educators to Identify the Ballet Educator’s Pedagogical Professional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1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본 연구는 수준 높은 발레교육을 펼치기 위해 발레교육자는 어떠한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기초 단계로 기존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에 나타난 전문성 개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동안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정립되지는 않았 다. 이 때문에 오랜 시간 발레를 전공하고 무용수로 활동하거나 대학 및 대학원에서 수학한 전 문 발레인들이 교육자로서 필요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했으며, 협회 및 주요 교육기관에서의 발 레교수법, 자격과정 이수를 통해 경력을 쌓아갔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발레를 전공한 학 생들이 발레무용수로 기량을 갖추는 과정 역시 발레교육자로서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로 간주하 고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상적 사례선택의 방법으로 선정된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은 국외 발레학교 교육과정, 발레교수법, 자격과정, 국내 예술중·고 등학교, 대학교 교육과정, 자격과정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레교육자만을 위한 특 화된 교육은 매우 부족했으며,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이나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자격 을 수여하는 사례 또한 드물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국내외 양성과정 분석을 통해 나타난 전문성 요소는 발레지식, 발레교수지식, 발레소양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발레 를 기능적, 예술적으로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 발레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적 측면의 능력으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레교육 및 발레교육 자와 관련한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ion of pedagogical professionalism and its components that Korean ballet educators posses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curriculum of ballet school, ballet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certificate course in Russia, France, England, United States, and Korea. Following the qualitative study paradigm, content analyze method were adop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Bereday(1964)’s comparative method. To validate the study, self reflection, and peer debriefing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of ballet educators’ pedagogical professionalism(BEPP) refers to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at required to teach ballet technically and artistically. Secondly, the three components of knowledge on ballet, ballet teaching, and ballet literacy were identified as ballet educational content knowledge exhibited international education for ballet educators. Knowledge on ballet refers to physical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Knowledge on ballet teaching relates to traditional ballet teaching method and pedagogical knowledge. Ballet literacy denotes personal knowledge and artistic sensibility. The study culminates by offering future directions for intertwining research and developing efficient practice in developing BEPP.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및 연구대상
2. 자료수집 및 분석
3. 자료의 진실성
Ⅲ. 국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
1. 국외 발레학교 교육과정
2. 국외 발레교수법
3. 국외 발레교육자 자격과정
Ⅳ. 국내 발레교육자 양성과정
1. 국내 예술중·고등학교 교육과정
2. 국내 대학 무용과 교육과정
3. 국내 발레교육자 자격과정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홍애령(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강사) | Hong, Ae-Ryung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