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카이브를 활용한 초등무용수업 탐색 KCI 등재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Methods through Achiv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2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본 연구는 공교육에서의 무용아카이브의 필요성과 아카이브를 활용한 무용교육 사례를 살펴 보고, 교육기준에 적합한 아카이브활용 무용교육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무용아카이브를 활용한 교육가능성을 탐색하고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카이브를 활용한 무용교육사례로서 오타드의‘리소스 활용 교육법(Resource-Based Teaching)’과‘비평적 감상과 창의적 표현을 통합한 춤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두 사례 모두 무용교수의 가장 중요한 접근법으로서 리소스에 바탕을 둔 교수법을 제안하고 있다. 아카이브 활용 무용교육방법은 최승희의 춤기록을 활용한 초등무용수업을 통해 구체화하였다. 주제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5학년 무용교육과정의‘민속표현’영역으로 정하였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표준에 의거해서 영역과 기대수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실 행과제, 창작과제, 감상과제, 소통과제들이 제시되었고, 각 과제별 아카이브 활용 방법들이 제시 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5학년 대상 실제 무용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needs of dance achive and examples of dance education through achives and shows dance education methods through achives. By doing so,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d show possibilities of education through dance achives. As the examples of dance education through achives,‘Resource-Based Teaching’ by Smith Autard and‘the construction and effects of 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tegrating critical appreciation with creative expression’ were searched. These examples suggest the method based on‘Resource-Based Teaching’. These are focused on popular dance works as a referenc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dance education. The dance education method through achives was intended applying to those standards and spheres. The main subject-fork expression was determined in 2007 National Curriculum of dance and the sphere and standards were suggested in Art education standard. Following this, performing subjects, creating subjects, appreciation subjects and communication subjects were suggested, and each methods of archive application. And the example of dance education was suggested.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무용 아카이브를 활용한 교육사례
1.오타드의 리소스활용 교육법
2. 비평적 감상과 창의적 표현을 통합한 춤교육 프로그램
Ⅲ. 최승희 춤자료를 활용한 무용수업
1. 무용교육의 영역 및 기준
2. 무용아카이브를 활용한 교수방법
3. 초등학교 아카이브활용 무용수업 지도안 예시
Ⅳ.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서예원(청주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 Suh, Ye-W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