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디오댄스 〈Nightmare〉에 관한 연구 - 표현영역 확장의 측면에서 KCI 등재

A Study on Extension of the Expression Area Through A Video Dance 〈Nightma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3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극장에서의 무용공연은 정해진 시간과 공간 속에서 신체의 움직임과 소품, 무대장치 등의 시 각요소와 음악, 소리 등의 청각요소 등을 통해서 안무가의 사상과 의도를 표현하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극장무용은 시·공간적인 제약과 인간의 신체가 가진 한계로 인해 표현이 제한된다. 극장무용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보고자 비디오댄스라는 새로운 양식의 예술이 등장 하였다. 비디오댄스는 가상공간을 상정하여 무대라는 한정된 공간이 가진 시·공간적인 제약을 극복 할 수 있는 방식의 예술이다. 또한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가상의 몸을 탄생시킴으로써 무 용수의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자유로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본인이 무용공연에서 느낀 시·공간적이고 신체적인 한계로 인한 표현의 갈증을 해소하기위해 비디오댄스 작품 〈Nightmare〉를 창작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한 무용작품을 영상 편집기법을 사용하여 재창작한 〈Nightmare〉를 분석하여 확장된 표현영역을 연구한 것이다. 즉, 〈Nightmare〉에서 테크놀로지를 사용함으로서 시·공간적 제약과 신체적 한계를 극복한 것에 대해 분석하고 또한 본 작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의미체계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Nightmare〉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비디오 작품분석법을 통합적으로 사용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디오댄스 작품〈Nightmare〉는 가상공간에서 다 양한 영상 편집기법을 사용하여 극장무용의 시·공간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테크 놀로지를 활용하여 신체를 복제, 합성, 확대, 축소하는 등의 기법을 통해 가상의 몸을 창조함으 로써 신체적 제약을 극복하였다. 그 결과 〈Nightmare〉는 극장에서 공연한 무용작품보다 본 안 무자가 표현하고자 했던 주제, 내용, 감정들을 보다 더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Dance as performed in a theater expresses the director󰡑s concept and intention through body movement, props, stage sets, etc., which are fixed in time and space. However, this conventional type of dance performance is restricted in the scope of its expression by the spatio-temporal limits of the human body. A new type of performance called video dance has emerged to overcomethese restrictions. Video dance overcomes the spatio-temporal restrictions of the theatrical stage by establishing a virtual stage.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sion of the area available for expression in〈Nightmare〉, a video dance created using video editing.〈Nightmare〉 is examined using the‘video work’ method of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Nightmare〉 extends the spacio-temporal performance space by reframing time and space in a virtual space using various video editing techniques. Physical expressions are enlarged by the creation of a virtual body using editing techniques such as reproduction, composition,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the bod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pace available to a dance performance is widened beyond the conventional stage to include virtual space through the use of technology. With this study, this researcher hope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various methods employed in dance to widen the area of express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절차
Ⅱ. 이론적 배경
1. 비디오댄스의 개념
2. 비디오댄스의 특성
Ⅲ. 비디오댄스 〈Nightmare〉의 창작과정에 대한 분석
1. 안무의도
2. 편집 기법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정은(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석사) | Kim, Jung-Eun (Ewha Womans University)
  • 조기숙(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 | Cho, Ki-Sook (Ewha Woma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