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Comparative Study of Curriculum in Postsecondary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KCI 등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4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무용과 무용교육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면서 미취학 아동과 초, 중, 고등교육을 통해 무용인구가 증가되고 있어 점진적으로 발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큰 관심과 달리 한국대학 무용과의 수는 2005년부터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이 감소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무용과의 감소는 대학 신입생의 감소와 졸업생의 일자리 부족의 증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현재, 대학 무용교육의 재조사와 개정을 통한 변화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정된 한국의 다섯 개 4년제 대학과 미국의 세개 4년제 대학의 무용과 교육과정을 전공, 교육목표, 교과목, 교사자격증 등의 비교와 분석 연구를 통해서 한국대학무용교 육의 현상태와 문제점을 인식하여 무용교육의 질적 발전을 이루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실현가능한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고 그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전공목표, 교육과정의 상호연관성 필요, 둘째, 이론, 실기 교과목의 다양성, 세분 화, 연속성 필요, 셋째, 특성화된 교과목과 프로그램 필요, 넷째, 무용교사자격증 필요, 다섯째, 다양한 전문 강사 채용 필요이다. 이 다섯 가지 방안들이 실현이 된다면 실제 변화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무용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정을 주장하는 움직임들은 꾸준히 제기되었으며 아직까지 해결이 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그러므로 무용교육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해야 하며 더 나아 가 사회와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무용계와 국가적 정책을 통해 명확한 방향 을 제시해야 한다. 지속적인 관심을 주어진다면 넓고 깊이 있는 질적 무용교육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 무용교육의 위치와 역할이 발전되고 향상되어 우리만의 고유한 특 성과 함께 많은 학생들의 입학을 이끌어 대학 무용교육의 밝은 미래를 향하여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ransforming society. It interfaces with education. There has been a movement in recent years toward revision of the dance curriculum in Korea with the aim of developing quality for dance education. This objective is important because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have decreased their dance education degree programs and seen a corresponding reduction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for enroll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majors, missions, and curricula of five 4-year undergraduate dance programs in Korea and three 4-year undergraduate dance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dance in higher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and weaknesses and then offer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dance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dance programs, five diverse recommendations can be made. a) The interconnection of major, mission and curriculum; b) the need of diversity, subdivision, and sequencing of courses; c) the need for specialty courses and other programs; d) the trend toward the necessity of teacher certification in dance; e) the need for various instructors as specialists in the dance programs. If implemented, these recommendations could yield real change. Dance curricula should mirror the changing times, not merely to further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ety, public schools, national policy and dance organizations’ desire to promote dance education. More attention must be paid to provide the breadth and depth of curriculum in dance programs. The result would be dance programs that have their own voice and draw more students to enroll. Such programs would take the next steps toward the future of dance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저자
  • 허가영(뉴욕대학교 무용교육과 석사졸업) | Huh, Ka-Young (New Yor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