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등교사의 수업컨설팅 인식 분석

Analysis of the Perception on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3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교육컨설팅연구 (The Journal of Educational Consulting)
한국교육컨설팅학회 (The Korean Academic Society for Educational Consulting)
초록

좋은 수업에 대한 기준은 수업의 주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중등 교사를 대상으 로 이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이란 무엇이며,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수업컨설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은 무엇인가, 둘째, 현장 교사가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을 구분하여 이해하고 있는가, 셋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컨설팅의 효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넷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컨설팅의 개선 방향 은 무엇인가 등 넷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기법을 활용하였는데, 경기도 성남시, 용인시, 화성시에 근무하고 있는 수업컨설팅 경험이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일반교사 2명, 수업컨설팅 경험이 없는 경력 10년 이상의 일반교사 2명, 교내·외에서 수업컨설턴트 역할을 하는 수석교사 2명 등 총 6명 이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은 학생과 교사가 좋은 관계로 소통하는 수업,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수업, 학습자의 수준이 반영된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이들은 수업컨설팅이 수업장학에 비해 부담감이 적고, 수업에 대한 평가보다 수업을 개선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수업 컨설턴트가 상대적으로 권위적이지 않고, 참여과정에서 행정적 부담이 적다고 생각하였다.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교사들은 이 과정을 통해 수업의 철학과 방법의 변화를 경험 하는 긍정적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수업컨설팅의 한계로 수업공개에 대한 부담감, 비자발적인 컨설팅 참여, 컨설턴트의 역량부족, 단발성 컨설팅 등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수업컨설턴트의 역량 강화, 교사의 실제적인 행정업무 감소,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수업컨설팅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 on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as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Six secondary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y consisted of two consultant teachers, two consultee teachers, and two career teachers. The interview questions lis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st teaching and the concept, process, pros and con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understood exactly the concept and the proces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s, however, they felt burden on opening their classroom to the consultants. Additionally they had complaints about the enforcement of participation and the low professionalism of consultants belonged on the educational offices. For expanding voluntary participation on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ey asked the teaching and learning became accepted as the best goals in school culture and the teachers’ administrative works needed to be decrease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as attached in the last par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좋은 수업의 요건
  2. 수업컨설팅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방법
  2. 연구참여자
  3. 연구절차
  4. 연구 도구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2.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3. 수업컨설팅의 효과에 대한 인식
  4. 수업컨설팅의 한계에 대한 인식
  5. 수업컨설팅의 개선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교신저자
  • 조원익(능동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