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 중류에서 하천 증발이 안개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Evaporation from a Stream on Fog Events in the Middle Nakdong Riv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0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구미에 위치한 낙동강에서 발생한 안개를 분류하였고 안개 발생 전후의 기상특성을 분석하였다. 안개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시정계를 이용하여 관측되었다. 안개는 총 74회 발생하였고 대부분 증기안개로 분류되 었다. 관측된 증기 안개는 내륙에서 발생한 안개보다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났는데 이는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야간 증 발이 다른 지역보다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안개 지속시간에 대한 하천 증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Penman- Monteith (Penman법)와 Bulk aerodynamic (Bulk법) 방법을 사용하여 증발량을 추정하였다. 이 중 Bulk법은 실제 수면 에서 측정한 증발량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Bulk법이 실제 수면 증발량 추정에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 다. Bulk법으로 추정한 증발량은 안개 비발생일 보다 안개 발생일에 06 LST와 07 LST에 더 높게 나타났다. 안개 발 생일에 하천의 증발은 대기에 증발잠열 에너지를 공급하고 안개 내부의 난류를 유지하는 에너지원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안개내부의 풍속, 기온, 그리고 난류운동에너지의 증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classified observed fog events in the Middle Nakdong River near Gumi and analyzed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fog formation. The observation was performed from 2013 to 2015 using visibility meter. A total of 74 fog events were observed and most of them were classified as steam fog. The duration of observed steam fogs was longer than that of typical inland fogs because the nocturnal evaporation from the water surface was enhanced by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evaporation from the stream on the fog duration, the evaporation was estimated using the Penman-Monteith and the Bulk aerodynamic methods. The estimated evaporation by the Bulk method was similar to the actual evaporation from the water surface. Therefore, the Bulk method is suitable for estimating the evaporation from water surface. The evaporation amount, estimated by using the Bulk method was higher on fog days than non-fog days at 06 LST and 07 LST. The added evaporation of fog days released latent heat to the atmosphere and provided energy to maintain the turbulence in the fog. This phenomenon was confirmed by the increase of wind speed, temperature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within the fog.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자료 및 방법
 연구결과
  안개 분류
  증발량 추정
  안개 발생 전후의 증발 영향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준상(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63568, 제주도 서귀포시 서호북로 33) | Jun Sang Park 교신저자
  • 김규랑(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63568, 제주도 서귀포시 서호북로 33) | Kyu Rang Kim
  • 강미선(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63568, 제주도 서귀포시 서호북로 33) | Misun Kang
  • 김백조(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63568, 제주도 서귀포시 서호북로 33) | Baek-J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