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아 척추 MRI의 조영증강 후 T1 TSE 기법과 비교한 VIBE 기법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KCI 등재

The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of VIBE sequence compared to T1 TSE sequence post contrast enhancement in pediatric spine MR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4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 : 소아 척추 MRI 검사 시 빠른 심박동수와 호흡으로 인해 위상부호화 방향으로 인공물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조영증강 후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VIBE(volumetric interpolated breath-hold examination) 기법을 기존의 T1 weighted TSE(turbo spin echo) 기법과 비교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5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척추 MRI 검사를 시행한 소아환자 30명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범위는 9세에서 18세까지이며, 평균 연령 13.4세였다. 사용 장비로는 3.0T MRI(magnetom skyra, SIEMENS, Germany)로 하였고, 32ch spine coil과 20ch head &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TSE 기법과 VIBE 기법으로 얻어진 각각의 흉추 MRI 영상을 영상의학과 소아판독 전문의 2명과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질을 비교 평가 하였다. 평가항목(1: bone cortex & marrow의 선예도, 2: 뇌척수액과 척수의 묘사, 3: 움직임과 호흡에 의한 인공물 감소, 4: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 5: 조영 증강의 효과)에 대해 리커트(Likert) 5point scale로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정량적 분석으로는 척추신경에 대한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SPSS 22.0 사용한 paired t-test로 통계적 유의성(p<0.05)을 검증하였다.
결 과 : 5명의 평가자가 TSE 기법과 VIBE 기법을 평가한 결과 영상평가 1번 항목에서 평균값이 각각 3.10(±0.12)점, 3.80(±0.31)점, 2번 항목에서 3.03(±0.56)점, 4.25(±0.35)점, 3번 항목에서 3.20(±0.62)점, 3.75(± 0.51)점, 4번 항목에서 3.13(±0.58)점, 3.88(±0.68)점, 5번 항목에서 3.68(±0.43)점, 3.35(±0.47)점으로 나타났다. 척수와 척수액의 평균 CNR은 TSE 기법이 3.91, VIBE 기법 5.71으로 1.02~2.29배(평균:1.46배) 높게 측정되어 VIBE 기법이 TSE 기법보다 CNR이 좋음을 알 수 있었고, paired t-test 통계분석 결과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모두 p<0.05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척추 질환의 초기 진단에 있어서 TSE 기법과 VIBE 기법의 영상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VIBE 기법에서 움직임 및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가 우수하였으며, 척수와 척수액의 CNR이 평균 1.46배 차이를 보임으로써 VIBE 기법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소아 환자는 성인에 비하여 뇌신경계 병변을 초기에 발견하여 진단적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VIBE 기법이 척추 질환 진단의 목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앞으로 소아 척추 질환 진단 시 VIBE 기법이 진단적 가치를 높이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he artifact can be occurred in the phase encoding direction due to fast heart rate and breathing in pediatric spine MRI. Especially it is intensified post contrast enhancement.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e clinical usefulness of VIBE (volumetric interpolated breath-hold examination) sequence is evaluated in comparison to T1 weighted TSE(turbo spin echo) sequence.
Materials and Methods : It was evaluated by 30 pediatric patients who have taken spine MRI test during the period from May 2013 to Jan. 2014. The average age was 13.4 and the range of age was from 9 to 18. 3.0T MRI(magnetom skyra, SIEMENS, Germany) was used with 32ch spine coil and 20ch head & neck coil for the test. Two radiologists and three radiologic technologists evaluated MR images by TSE sequence and VIBE sequence.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s Likert 5 point scale for 5 items(1. sharpness of bone cortex & marrow, 2. description of cerebrospinal fluid and spinal cord, 3. artifact reduction by motion and breathing, 4. artifact reduction by flow, 5. effect of contrast enhanc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CNR (contrast to noise ratio) for spinal nerv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paired t-test using SPSS 22.0.
Results : As to qualitative analysis result, average value was 3.10±0.12 and 3.80±0.31 in first item, 3.03± 0.56 and 4.25±0.35 in second item, 3.20±0.62 and 3.75±0.51 in third item, 3.13±0.58 and 3.88±0.68 in fourth item, 3.68±0.43 and 3.35±0.47 in fifth item for TSE sequence and VIBE sequence respectively. As to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average CNR was 5.71 in VIBE sequence and 3.91 in TSE sequence, so it was average 1.46 fold higher result in VIBE sequence. These results in every item were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VIBE sequence and TSE sequence by paired t-test.
Conclusion : The images from VIBE sequence and TSE sequence were evaluated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sts in early diagnosis for pediatric spine disease. It was verified VIBE sequence is superior to TSE sequence in artifact reduction by movement and flow and CNR of spinal nerves and other items. It is very important in clinical situation to improve diagnostic accuracy for early detection of CNS lesion in pediatric patients. Considering VIBE sequence was rarely used in purpose of diagnosis for spine disease, it is expected VIBE sequence can be meaningful approach to get image to improve diagnostic value in pediatric spine diseas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 상
  2. 장비 및 검사방법
  3. 영상분석
 Ⅲ. 결 과
  1. 정성적 평가(Qualitative Analysis)
  2. 정량적 평가(Quantitative Evaluation)
 Ⅳ. 결론 및 고찰
 Ⅴ. 참고문헌
저자
  • 김민정(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Min-Jeong Kim
  • 문시라(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Si-Ra Moon
  • 장영애(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Young-Ae Chang
  • 오대일(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Dae-Il Oh
  • 이승근(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Seung-keu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