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RI LDLT(Living Doners Liver Transplantation) 검사시 Hepatic Ducts의 3D MRCP Post-Processing에 관한 유용성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64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 : 생체부분간이식(Living Doners Liver Transplantation. 이하 LDLT)에서 간 공여자가 수술 전에 검사하는 자기공명췌담관조영술(Magnetic Resonance Cholangio Pancreatograpy, MRCP)은 T2효과를 높여 간 담도내의 해부학적 구조물을 잘 관찰하기 위한 검사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간 좌우엽으로 연결되는 hepatic ducts의 구조를 3D-MRCP post-processing함으로 그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부터 2014년 2월까지 본원에 간 공여자로 내원한 환자 총50명(남자:29명 여자:21명, 평균나이:29.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은 2D-MRCP 4 cm 두께의 radial (oblique coronal) & oblique axial projection image 얻고, 3D-MRCP는 respiration-triggering sequence로 source images 1㎜를, GE Workstation (AW volumeshare 4.6)에서 3D기법 중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와 VR(Volume-rendered)으로 간담관에 평행하게 Slabs와 angle 주어 oblique coronal로 재구성한 후, oblique coronal image plane에서 double angle을 주어 hepatic ducts 잘 보이도록 방사선사 1명이 영상처리했다. 평가방법은 정성적 분석으로 biliary track와 hepatic ducts의 해부학적 구조와 명확도를 2D-MRCP와 3D-MRCP 영상처리 image를 비교하여 방사선과 전문의 2명이 판독했다.
결 과 : 3D-MRCP는 영상처리 시 다양한 slabs 두께로 coronal oblique MIP image에서 double angle 주면 좌우 간담관분지를 찾을 수 있었다. 3D-MRCP와 2D-MRCP의 영상처리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2건(4%) 간담관의 해부학적 구조가 다르게 나타났고, 15건(30%) 명확한 해부학적 구조를 확정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결 론 : 간 공여자의 간담관 Type은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영상처리 시 주의가 필요하다. 각 공여자마다 간담관의 구조, 길이, 굵기 및 간실질의 대조도 분해능이 다르기 때문에 적당한 slabs angle를 적용해야 한다. 3D MRCP post-processing은 LDLT 수술을 계획하는 외과의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간 공여자의 안전과 수술시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저자
  • 장진규(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팀)
  • 서대건(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팀)
  • 김영재(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