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dministration of contrast media to pregnant patients and breast – feeding mothers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98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Definition
진단 검사용 Gadolinium을 이용한 MR 조영제와 같은 저분자량세포외액 물질은, 인간 배아 또는 태아에 대한 연구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아 임산부에 대한 사용이 제한적이다. 표준 MR 조영제는 영장류의 태반을 통과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IV 주입 후 11분 이내에 태아의 방광에서 관찰된다[1]. Gadolinium 조영제는 비슷한 방식으로 태반장벽을 넘어 태아에게 전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Gadolinium 조영제를 수유중인 여성환자의 영상 검사를 위해 사용시 환자와 주치의는 모유를 통해 분비되는 조영제가 유아에게 미치는 잠재적인 유독성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문헌에 따르면 Gadolinium에 의한 조영제가 모유로 분비된 물질이 유아의 위장관에서 재흡수 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고 한다.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s
pregnantpatients
Gadolinium에 의한 MR 조영제가 임상 용량대로 사용될 때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조영물질을 사용했던 임산부들의 통제된 기형변화 연구는 충분하지가 않다. 임신 초기 3개월 단계에서 Gadolinium chelates에 노출된 2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single cohort 연구에서는 기형변이나 돌연변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breast– feeding mothers
산모에게 IV로 주입된 용량의 0.04% 미만이 처음 24시간 동안 모유를 통해 분비되고, 아이가 먹은 조영제의 1% 미만이 위장관에서 재흡수 되므로 아이가 모유로부터 재흡수 하리라고 예상되는 조영제의 양은 산모에게 IV로 주입된 조영제 사용량의 0.0004% 미만이다.
Recommendation
임신 상태환자가 MR 검사를 시행할 때에는, 환자에게 MR 검사 시행시의 장점 및 위험성과 다른 진단 검사로의 대체 가능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검사 진행하기를 원하는지에 대해 서류상의 동의서를 제공하는 것을 권고한다. 문헌을 살펴보면, 유아가 먹는 모유에서 분비되는 Gadolinium 조영제의 아주 작은 양이 독성 영향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된 예는 없었다[4].. 따라서 Gadolinium 조영 물질을 사용한 후에 모유 수유를 계속하는 것은 산모와유아에게 안전하다는 보고는 신뢰 할 수 있다.

저자
  • 김선기(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팀)
  • 임청환(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