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기연민의 적용과 효과: 장애아동 부모의 자기연민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Self-Compassion: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between Self-Compass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0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연민의 적용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장애아동 부모들의 자기연민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장애 관련 기관에서 재활 혹은 교육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부모 28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장애아동 부모의 자기연민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은 완전히 매개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의의는 장애아동 부모가 장애아동을 위하여 보다 잘 양육시키기 위한 양육효능감을 잘 형성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 부모의 자기연민뿐만 아니라 장애수용도 중요하게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자기연민을 높이는 방법을 강구하고 장애수용도 높여서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법도 논의하였다. 후속적인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between self-compass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understand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self-compassion. Data of the study subjects obtained by participating research on 280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receive rehabilitation and education service in disability related institutions located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tiliz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elf-compass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shown to affect the parenting-efficacy. But, I input the disability acceptance in these variables and then analysis the path. Disability acceptance is shown to fully mediated effects between these variables. Therefore, a hypothesis is verified that the self-compass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fects the parenting efficacy through the disability acceptance.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how to raise self-compassion as a way to improve the parenting efficacy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parenting efficacy by increasing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I suggested further researches whi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저자
  • 나동석(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RA, Dong-s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