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드론을 활용한 3차원 DSM추출을 위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Three Dimensional DSM Development using Self-Developed Dro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0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논문은 자체 개발된 드론을 이용하여 사진측량기술을 적용하여 3차원 수치지표면모델(DSM)개발 연구를 수 행하였다. 이 DSM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도 지역을 선정하여 24장의 사진을 개발된 드론으로 직접 촬영을 수행하였 다. 촬영된 사진의 정확한 3차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하여, 10개의 지표기준점(GCP)점을 선정하여 상대측위 지구위치시 스템(DGPS)측량을 실시하였다. 사진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3개의 GCP점을 선정하여 사진상의 좌표와 지상점의 좌표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사진좌표계과 지상좌표계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수평오차는 8.8-14.7 cm로 나타났으며, 연직오차는 12.4 cm로 나타났다. 이 정확도는 국토지리정보원(NGII)이 인정하는 1/1,000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가지는 측량결과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드론과 사진측량기법이 제주지역에서 우리가 원하는 DSM자료를 얻는데 유용한 기술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Digital Surface Model (DSM) using photogrammetry technique based on self-developed Dron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o develop DSM, we selected a study area in Jeju island and took 24 pictures from the drone. The three 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photos were made by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surveying with 10 ground control points (GCP). From the calculated three dimensional coordinates, we produced orthographic image and DSM. The accuracy of DSM was calculated using three GCPs. The average accuracy of X and Y was from 8.8 to 14.7 cm, and the accuracy of Z was 0.8 to 12.4 cm. The accuracy was less than the reference accuracy of 1/1,000 digital map provid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self-developed drone and the photogrammetry technique are a useful tool to make DSM and digital map of Jeju.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대상지역
  연구지역의 드론 촬영
  자료처리 과정
 결과 및 고찰
  기준점 측량
  위치정확도 분석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병걸(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 Byung-Gul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