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호관찰 청소년의 교정상담 모형 연구: 학교복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Correctional Counseling Model for the Probation Adolescents: Focusing on Returning to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1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밖으로 나가게 되는 심리적 상태를 복합적으로 규명하고, 학교 복귀를 어렵게 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보호관찰 청소년의 교정상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탈학교 과정의 범주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정상담 모형을 도출하였다. 보호관찰 청소년의 탈학교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심 현상은 ‘자신의 모습이 초라하고 창피함’, 인과적 조건으로 ‘학업부진의 어려움, 또래관계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낙인찍힘’, 맥락적 요인으로 ‘비전 및 목표 부재, 가족갈등 및 불화, 교사와 학교제도와 갈등, 시간 개념의 부재’, 중재적 요인으로 ‘개입 및 지지의 부재’, ‘또래 및 유해환경에 의한 비행행동 촉진’, ‘복학의 어려움’, ‘결과적 사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문제행동 지속하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으로서의 삶’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관찰 청소년의 교정상담 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단계는 정보제공과 자각을 지칭하는 정보단계(Information Stage), 구체적 개입전략과 유형을 분석하는 개입단계(Intervention Stage), 변화목표와 영역을 실행하는 변화단계(Change Stage), 변화 과정에 도움과 지원을 제공하는 지원단계(Support Stage), 지속적 변화를 돕는 유지단계(Maintainment Stage)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년범죄자들의 범죄를 위한 효과적인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교육 및 교정 상담 현장에서의 지원방향 및 내용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of effective counseling for adolescents in probation through analyz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which make them leave the school and exploring the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turn to school. In this study, the correctional counseling model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category model of the off-school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in prob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in phenomenon experienced during the off-school periods of the probation adolescents is ‘the appearance of being shabby and shameful’, the difficulty of poor academic performance, economic difficulty, stigmatization, ‘conflict with family and school system, lack of time concept’, ‘absence of intervention and support’ as an interventional factor, ‘promotion of flight behavior by peer and harmful environment’, ‘difficulty in returning’, ‘resultant thinking’, ‘problem behavior’ as a function / interaction strategy to solve the central phenomenon, and ‘life as a youth outside the school’ as a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esented a model of corrective counseling for probation adolescents. It has five stages: Information Stage that provides information and awareness, Intervention Stage that analyzes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atterns, Change Stage that specifies change goals and areas, Support Stage that provides help and support for the change process, and Maintenance Stage which is the post-support p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effective preventive policies for crime of juvenile offenders as well as corrective counseling, and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support in educational and correctional counseling fiel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보호관찰 청소년의 교정상담 모형을 위한 분석
 Ⅳ. 결론
 Ⅴ. 연구의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차명호(평택대학교) | Cha Myungho
  • 남정아(로저스심리상담센터) | Nam Ju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