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남해안산 패류의 중금속 함량 KCI 등재

Heavy Metals in Shellfishes Around the South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2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1999년 2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남해안의 패류양식장에서 채취한 굴(Crassostrea gigas), 진주담치(Mytilus edulis), 바지락(Scapharca broughtonii) 및 피조개(Ruditapes philippinarum)의 수은, 카드뮴, 납 및 크롬 등 중금속 함량을 정량하고 굴과 진주담치가의 중금속 함량을 비교하였다. 남해안 11개소의패류 양식장에서 채취한 굴의 중금속 함량은 평균치로 수은이 0.008㎍/g, 카드뮴이 0.519㎍/g, 납이 0.220㎍/g 그리고 크롬이 0.153㎍/g이었고, 12개소에서 채취한 진주담치의 함량은 각각 0.008, 0.257, 0.214 및 0.178㎍/g이었다. 전남 고흥군 나로도 연안에서 채취한 바지락의 중금속 함량은 평균치로 수은이 0.009㎍/g, 카드뮴이 0.232㎍/g, 납이 0.107㎍/g 그리고 크롬이 0.364㎍/g이었고, 경남 남해 강진만에서 채취한 피조개의 함량은 각각 0.007, 0.559, 0.149 및 0.116㎍/g이었다. 굴, 진주담치, 바지락 및 피조개에서 검출된 중금속의 함량은 최고치인 경우에 있어서도 우리나라의 해산 패류 중 중금속 허용기준치 및 미국의 패류에서의 중금속 농도 권고치를 초과하지 않았다. 동일한 지역에서 같은 시기에 채취한 굴과 진주담치는 수은의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카드뮴은 굴이 진주담치보다 약 2배의 축적율을 나타내어 품종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였다.

The levels of heavy metals (total-mercury, cadmium, lead and chromium) in shellfishes, such as oyster (Crassostrea gigas), blue mussle (Mytilus edulis),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and little 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determined. The samples were collectoed from 11 stations for oyster and 12 stations for blue mussle in the South Coast of Korea, and little neck clam and arkshell were collected from Koheung and the Kangjin Bay, respectively, during 1999 to 2000.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 in 4 different species of shellfishes analyzed were ranged from 0.007 to 0.009㎍/g for total-mercury; 0.232 to 0.559㎍/g for cadmium; 0.107 to 0.220㎍/g for lead; and 0.116 to 0.364㎍/g for chromium on wet basis. The highest level of total-mercury, lead, cadmium, and chromium in the samples analyzed were all below the quarantine limit of the Korean regulation and guideline establish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human consumption. The levels of heavy metals in the samples were negligible, which could be endogeneous. It was elucidated that oyster was able to accumualte 2-times more cadmium than blue mussle on this study.

저자
  • 김지회
  • 임치원
  • 김평중
  • 박정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