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김밥 조리조건에 따른 미생물 품질 평가와 중요관리점의 관찰 KCI 등재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Kimbap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Cooking Condition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s in the Proces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3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통의 조리조건과 위생적 조리조건에서 김밥을 조리하였을 때에, 각 조리조건하에서의 식자재(원재료),조리자의 손, 조리환경(조리기구 및 조리실),그리고 완성된 김밥의 미생물 품질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김밥조리과정 중의 중요관리점(CCPs)을 관찰하였다. 김밥과 그 원재료, 조리자의 손, 그리고 조리기구(칼, 도마 및 김발)의 표준평판균, 대장균군, 분변성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등의 미생물을 식품공전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조리실의 미생물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표준평판균, 대장균군 및 분변성대장균군은 보통의 조리조건에서보다 위생적 조건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김밥 원재료 중 비가열재료에서는 가열재료보다 표준평판균 및 대장균군수가 많이 검출되었다. 두 조건에서조리실의 공중낙하균은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위생적 조리조건에서 만든 김밥은 보통의 조리조건에서 만든 김밥에 비하여 표준평판균과 대장균군이 1/100수준이었으나 아직 분변성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비가열재료, 조리기구 및 조리자의 손의 미생물 오염, 그리고 조리 중의 교차오염이 김밥 미생물 오염의 주요 근원으로 지적되며, 비가열재료의 취급, 조리기구의 세척과 소독 및 조리자의 손씻기 단계가 CCPs로 제시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kimbap (rice balls rolled in laver) prepared in two conditions (normal condition or clean, sanitized condition) and to support a practical application to identify critical control points (CCPs) in the preparation and cooking processes of kimbap. Kimbap, raw materials of kimbap, utensils (knives, cutting board, and kimbal which is made of bamboo), and hands of food handlers were examined microbiologically. Airborne microbes in the kitchens were also evaluated. Escherichia coli, Salmonella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levels of all samples in clean, sanitized condition were much lower than those in normal condition. More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were counted in unheated raw materials of kimbap than in heated raw materials. In both conditions, the levels of airborne microbes of the kitchens were satisfactory. The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of kimbap prepared in clean, sanitized condition were one hundredth levels of those of kimbap prepared in normal condition. However, fecal coliforms were detected even in the kimbap prepared in clean, sanitized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kimbap may be mainly originated from the contaminated unheated raw materials, utensils, and hands of food handlers, and also possible cross-contamination during preparation. The CCPs for kimbap preparation and cooking were handling of unheated raw materials, cleaning and sanitizing utensils, and hand washing of food handlers.

저자
  • 김종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