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 -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KCI 등재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ggressiveness - A Case of Convicts in a Correctional Institu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9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존감 척도(SES), 자기애성 성격장애 척도(NPDS),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CERQ), 공격성 질문지(AQ-K),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가 실시되었으며, 총 304명의 응답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먼저, 자존감 유형에 따라 공격성과 분노표현 양상,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ANOVA와 Tukey 사후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높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감, 적대감, 신체적 공격행동이 가장 낮았으며 방어적인 자존감 집단에서 적대감과 언어적 공격행동이 가장 높았다. 방어적인 자존감 집단과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경향이 동일하게 높았지만,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통제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은 자존감 집단에서 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는 부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더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존감과 분노표현 양상 간의 관계 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측대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자존감과 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자존감과 부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ggressiveness of the convicts incarcerated in a correctional institution. Fiv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04 convict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self-esteem subtypes on aggressiveness, anger ex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scores on the SES and NPDS; high self-esteem, defensive self-esteem, and low self-esteem group. For this, ANOVA was conducted. And then, the study identified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anger expression b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elf-esteem group showed lower anger, host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than the defensive and low self-esteem groups. The defensive self-esteem group showed higher hostility and verbal aggression than the other groups did. Second, The defensive and low self-esteem groups showed higher anger-out and anger-in than the high self-esteem group did. Furthermore, the low self-esteem group showed the highest difficulty in anger-control. Third, The high self-esteem group utilized mor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ut the low self-esteem group utilized more maladaptive strategies. For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daptive anger expression. Also,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aladaptive anger express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은희(강원해바라기아동센터 임상심리전문가) | Kim, Eun-Hee (Clinical Psychologist of Kangwon Sunflower Children Center) 교신저자
  • 강승호(강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Kang, Seoung-Ho (Professor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