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라의 우산국 복속과 동해의 제해권 확립 KCI 등재

Subjugation of Woosanguk by Silla and Establishing Command of the East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6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독도연구 (The Journal of Dokdo)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Dokdo Research Institute)
초록

일반적으로 한국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역사적 근거로,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512년 사료인 ‘이사부의 우산국 복속’을 가지고, ‘독도영유권에 대한 歷史的 權原’이라고 한다. 權原이란 권리의 원천이 된다는 말이다. 이사부의 우산국 복속은 지증왕 대에 신라가 국호를 제정하고 국왕호를 칭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동해안으로 진출하여 북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즉 신라는 실직주(삼척)와 하슬라주(강릉)를 장악한 후, 우산국을 복속하고 이어 비열흘주(안변)와 달 흘주(고성) 설치하고 진흥왕순수비를 세우며 삼국통일의 기반을 닦아 나갔다. 그리고 우신국 복속은 고구려와 대립적인 상황에서 고구려와 왜와의 연대나 우산국과 대마도와의 교류를 차단하는 등 신라의 배후를 안전하게 위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신라의 우산국을 복속은 동해의 제해권 확립이라는 결과를 도출해 내었고, 그러 한 사실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왜 관계 기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삼국사기』에 나오는 왜의 신라 침입기사는 기원 전후부터 총 34회인데, 그 가운데 33회가 500년까지 나타나고 우산국 복속이후 231년간은 1번밖에 없었다. 그것은 우산국 복속에 의해 동해의 제해권을 신라가 장악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신라의 우산국 복속은 신라가 동해의 제해권을 확립한 역사적인 산물이며 독도를 우리의 영토에 편입했다는 확실한 역사적 증거이기도 하다.

As a historical ground of territorial claims to Dokdo of South Korea, they generally assert that the “Subjugation of Woosanguk by Isabu” which is historical record of 512th year in Sillabongi of 󰡔Samguk Sagi󰡕 is ‘historical ground of claim to Dokdo ownership’. Ground of claim means origin of right. Subjugation of Woosangook by Isabu was done while Silla organized country system through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name and king's title in the Jijeungwang period and it advanced to the East Coast to move north. In other words, Silla subjugated Woosanguk after having taken Siljikju (Samcheok) and Haseullaju (Gangneung); it installed Biyeolhelju (Anbyeon) and Dalheulju (Goseong); and, it erected Jinheungwang Sunsubi and then, it built a foundation of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And, the subjugation of Woosanguk was made for the purpose of safe backside by blocking not only associativity between Goguryeo and Wae but also the interchanges between Woosanguk and Daemado under the situations opposing with Goguryeo.
As a result, subjugation of Woosanguk by Silla drew a result of establishing command of the East Sea, which can be found from an article about Wae in Sillabongi of 『Samguk Sagi』.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Wae's invasion to Silla shown in 『Samguk Sagi』 are 34 in total since the first century BC, and 33 times out of them appeared up to 500th years without appearing for 231 years since subjugation of Woosanguk. It means that Silla established command of the East Sea through subjugation of Woosanguk.
In that sense, subjugation of Woosanguk by Silla is a historical outcome of establishing command of the East Sea by Silla and it also is clear historical evidence that Dokdo was incorporated into our territor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신라의 동해안 진출
 3. 왜의 동해안 침탈
 4. 우산국복속과 동해의 제해권 확립
 5. 결론
 Abstract
저자
  • 손승철(강원대학교) | Son, Seung-Cheul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