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상 독도의 위상 (울릉도의 속도)과 그 수호책 KCI 등재

The Status of Dokdo As the Subordinate Islets To Ullung Island in the Provision of Article 2(a), Peace Treaty(Sept. 8. 1951) and Protection for the said Stat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61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독도연구 (The Journal of Dokdo)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Dokdo Research Institute)
초록

‘독도’는 역사적, 국제법적 및 그 실효적 관할 상 엄연히 대한민국의 영토이다. 소위 “독도분규”란 존재하지 아니한다. 다만, 일본이 정당화되지 아니하고 근거 없는 소위 “자국 땅” 주장을 울릉도의 속도인 한국의 독도에 행하고 있을 뿐이다.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 (a)의 규정에 따라서, 코리아의 독립을 승인하며, 울릉도,..를 포기하였으며, 동 울릉도에는 그 속도인 ‘독도’가 포함된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전에는, 일본 막부정부의 외교서계(1699년 1월)에 의거, 속도인 독도를 포함한 “울릉도가 조선국의 영토임은 정부간행 동국여지승람(1531년)과 울릉도와 독도가 동해에 그려져 있는 그 부속 지도인 ‘8도 총도’에 나와 있으며 강계는 자명한 것이다” 고 강조한 1699년 3월자 조선국의 외교상 서계를 수용한 것이다. 이로써, 독도가 조선국의 영토임은 수년간에 걸친 양국 간 외교교섭 끝에 국제법상 결정적으로 완성되었던 것이다. 이 국제법상 완결은 일본정부의 최고기관인 태정관(太政官) 지령(1877.3.29)이 증거하고 있다. 그 후 일본정부는 1905년의 일본정부가 러·일전쟁 중 은밀하게, 불법적으로 독도를 무주지란 구실 하에 국제법상 금반언원칙을 위반하며, 독도를 일본에 포함시키기 까지 200여 년간 독도에 대한 조선국의 영토주권을 존중하였던 것이다.
2차 세계대전 후에는, 포츠담선언 (8)에 따른 스카핀 677(1946.1.29)에 의거, 울릉도, 독도, 제주도 및 코리아가 일본으로부터 제외조치 되었다. 특히, 포츠담선언 (8)에 의거, 일본의 주권은 4대 도서(혼슈, 혹카이도, 규슈 및 시코크)와 연합국이 결정하는 소 도서로 한정한다 고 규정하였으나, ‘독도’를 연합국이 일본의 소도서로 결정한바가 없다. 따라서 일본이 ‘독도’를 자국 땅이라고 주장함은 포츠담선언 (8) 후단을 위반하는 것임을 지적할 수 있다. 더욱이 평화조약 추진을 주관하였던 미국대표 덜레스의 1951.9.5 연설 중 다음 구절은 6년 전 스카핀 677에 의거 ‘독도’가 일본에서 제외조치된 것을 상기시킨다고 할 것이다. 덜레스 연설(발체문): “일본의 영토주권이란 무엇인가? ... 그것은 일본에 관한한 6년 전에 실제로 시행된 포츠담항복조건의 영토규정을 공식적으로 재비준(인정)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견지에서 볼 때, 울릉도의 속도로서의 독도의 위상과 관련하여서 평화조약 제2조 (a) 규정에 관한 더욱 세심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re exists no so-called “Dokdo disputes”, but that Japan raises groundless and unjustified claim to Korean territory Dokdo which is subordinate islets to Ullung Island.
Japan, “recogniz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renounced... Ullung Islan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of Article 2(a), Peace Treaty (Sept. 8, 1951), San Francisco.
Prior to World War II, Japanese Shogunate government accepted by its diplomatic note dated January 1699 the Korean Kingdom government’s diplomatic note (dated March 1698) justifying that “Ullung Island including Dokdo Islets” belonged to the Korean territory with the evidences of Donggook yeoji Senlam (tne Geography Book of Korean Territory published by the government in A.D. 1531) and its annexed Map “The Map of All the 8 Provinces” in which Ullung Island and Dokdo Islet were drawn in the East Sea (or Sea of Japan). With the said Japanese diplomatic note, the controversy over Ullung Island and Dokdo were definitely settled as Korean territory through out several years of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the governments of Korean and Japanese.
The Japanese Da Jo Gan (太政官) Directive dated March 29, 1877 with its annexed map of Eso Takeshima (Ullung Island) which included Dokdo, endorsed definitely the said diplomatic settlement of the controversy. The subsequent Japanese governments had respected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for more than 200 years until the Japanese government of 1905 decided on Jan. 28 1905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to include Dokdo Islets into Japan confidentially and surreptitiously under the cloak of treating the islets as terra nullius, also breaching the principle of Estoppel in international law.
After World War II, Ullung Island, Dokdo Islets (Liancourt Rocks), Cheju Island and Korea were excluded from Japan by SCAPIN 677 (dated Jan. 29, 1946)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of Potsdam Declaration(8) which reads: “The trerms of Cairo Declaration shall be carried out, and Japanese sovvereignty shall be limited to Four main islands (Honshu, Hokkaido, Kyushu, Shikoku) and such minor islands as we determine. “It is notable that Dokdo Islets have never been determined by the Allied Powers as such minor island of Japan. Therefore, Japanese government can not lay any claim to Dokdo without violating the said provision of Potsdam Declaration (8). Furthermore, the following message of John Foster Dulles out of his address on Sept. 5, 1951 on the proceeding of the Peace Treaty strongly suggested that the “Ullung Island” in Article 2(a), Peace Treaty comprised the Dokdo: which reads: “What is the territory of Japanese sovereignty? ... Japan formally ratifies territorial provisions of Potsdam Surrender Terms, provisions, which, so far as Japan is concerned, were actually carried into effect 6 years ago.” This suggested of the directive SCAPIN 677 (Jan. 29, 1946) by which Dokdo had been excluded from Japan.
In this light of views, the provision of Article 2(a) may be required to be carefully studied in regard to the status of Dokdo which was comprized in the Ullung Island as the subordinate to.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저자
  • 나홍주(전 주미대사관 해무관, 흥사단독도수호본부 공동대표) | Hong-ju NAH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