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iveness of a Solid Sialogogue to Stimulate Salivation in MR Sialography KCI 등재

자기공명 타액선조영검사 시 고체 타액분비 촉진제의 유용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8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본 연구는 MR Sialography 검사 시 사용되는 타액분비촉진제를, 새로운 고체 자극제로 대체하더라도 신호강도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기존 액체 자극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6년 1월부터 동년 8월까지 타액선 질환이 없는 60명을 대상으로, 액체 자극제와 고체 자극제를 적용한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영상을 획득한 후, 자극제의 종류에 따른 이하선 관의 신호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액체 자극제(59.42±15.74)에 비해 새로운 고체 자극제(61.80±13.99)를 사용했을 경우 신호강도는 4.01%(2.38)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극제의 종류에 따른 신호강도는 차이가 없음으로 새로운 고체 자극제를 사용하면 기존의 액체자극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prove that a solid sialogogue can improve the defects of the liquid one and substitute it with no differences in the signal intensity. From January to August 2016, 60 patients with no salivary gland diseases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a group with a liquid sialogogue and the other group with a solid sialogogue. MR images were acquired and signal intensities of the parotid gland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signal intensities of liquid and solid sialogogu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59.42±15.74 and 61.80±13.99, respectively) In conclusion, a solid sialogogue was verified to have no signal intensity differences from the liquid one while it could improve the defects of the liquid sialogogu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1. 연구대상 및 방법
  2. 영상획득 및 기법
  3. 측정 및 분석방법
 Ⅲ. RESULT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자극제의 종류에 따른 신호강도
 Ⅳ.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
 요 약
저자
  • Kwanwoo Choi(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 최관우
  • Hobeom Lee(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 이호범
  • Sara Na(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 나사라
  • Soonyong Son(Department of Radiotechnology,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손순룡
  • Beonggyu Yoo(Department of Radiotechnology,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유병규 Corresponding Aut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