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 evaluation on power generation of water resources facilities in North Ko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KCI 등재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유출변화에 따른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9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기후변화 영향으로 미래의 유출량은 변화할 것이다. 미래 유출량의 변화는 수자원시설에 유입량을 변화시켜 발전량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유출변화에 따른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을 평가하였다. 수자원시설에 대한 발전량은 물의 에너지에 의해 수차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력을 발생시킨다. 즉, 물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고 운동에너지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평가 결과,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은 현재보다 2011년부터 2040년까지 감소하였고, 2041년부터 2100년까지는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은 미래에 감소하거나 현재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은 단기적으로는 감소하지만, 중장기 미래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북한 수자원시설은 기후변화 영향에 취약하고, 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은 기후변화 영향에 유리하게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runoff will be changed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and this phenomenon affects the flood inflow to Water Resources Facilities (WRF) and its production.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of WRF in North Korea as climate change. The WRF can produce the electric power by rotating the hydraulic turbine using the energy of water. In other words, it converts the potential energy to the kinetic energy, then the kinetic energy to the electric energ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WRF in North Korea decreased from 2011 to 2040, and increased from 2041 to 2100, comparing with present. In other words, the productivity will decrease at first (2011~2040) but increase (2041~2100). It is because there will be new facilities for climate change, and the capacities of them will be getting far better than the existing facilities. The existing North Korean WRFs are vulnerabl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it is judged that the new North Korean WRFs are advantageously located in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동향
 2. 북한 수자원시설 연구방법 및 과정
 3. 연구의 범위
 4. 기존/신규 북한수자원시설 평가방법
  4.1 수자원시설별 지점 생성 및 유역면적 산정방법
  4.2 저수량분석 방법
  4.3 수자원시설별 발전량 산정방법
  4.4 수자원시설 산정방법에 대한 검증
 5. 기존/신규 북한 수자원시설 평가분석
  5.1 기존/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 분석
  5.2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기존/신규 북한 수자원시설 분석 ․ 평가
 6. 결 론
 References
저자
  • Eo, Gyu(US (Urban Safety)) | 어규
  • Lee, Chan Hee(US (Urban Safety)) | 이찬희
  • Sim, Ou Bae(US (Urban Safety)) | 심우배
  • Ahn, Jaehyun(Department of Civi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 안재현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