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차광제와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이용한 고온기 시설내 환경관리 KCI 등재

Optimum Management of Greenhouse Environment by the Shading Coat and Two-fluid Fogging System in Summer Seas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9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실험은 광파장 선택형 차광제와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온기 시설내 고온과 건조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적정 냉각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처리는 차광제와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은 대조구(Non), 이류체 포그시스템만 설치하여 작동한 처리(Fog), 차광제만 도포한 처리(Coat), 외부에 차광제를 도포하고 내부에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작동한 처리 (F&C) 등이었다. 유입 일사량(열량)은 Non, Fog, Coat, F&C 순으로 많았다. 시설내 기온을 낮추는 방법으로는 이류체 포그시스템이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처리하면 상대습도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었다. 작물의 품온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약 6oC 이상 높았다. 연구결과, 고온기 시설내 광, 온도, 상 대습도 환경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이류체 포그시 스템과 차광제 도포를 함께 하는 것이나, 효과 및 경제 성을 함께 고려한다면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단동하우스의 경우에는 구조적 제약으로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설치보다 광선 선택형 차광제를 도포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efficient methods to overcome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with light selective shading agent and two-fluid fogging system in greenhouses in hot season. There were four experimental treatments; not treated (Non), fogging by two-fluid fogging system (Fog), spraying onto the greenhouse surface with shading coating agent (Coat), and using fogging and coating together (F&C).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entered into the greenhouses was higher in Non, and then Fog, Coat, and F&C in descending order. Fog was more efficient to lower the air temperature and also raise relative humidity than Coat treatment. The crop temperature was about 6oC higher in Control than the other treatments. F&C revealed as the most efficient method to control the environment inside the greenhouse, but fogging system seemed to be more economic. In stand-alone greenhouses spraying coating agent may be the appropriate choice because of their structural limitations, mainly eave height.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김성은(상명대학교 식물식품공학과, Department of Plant and Food Sciences, Sangmyung Univ.) | Sung Eun Kim Corresponding author
  • 이재은(상명대학교 식물식품공학과, Department of Plant and Food Sciences, Sangmyung Univ.) | Jae Eun Lee
  • 이상돈(상명대학교 식물식품공학과, Department of Plant and Food Sciences, Sangmyung Univ.) | Sang Don Lee
  • 김학선(상명대학교 식물식품공학과, Department of Plant and Food Sciences, Sangmyung Univ.) | Hak Sun Kim
  • 전희(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Hee Chun
  • 정우리(농업법인회사 세론, Agricultural corporation SERON) | Woo Ri Jeong
  • 이문행(부여토마토시험장, Buyeo Tomato Experiment Station, C.A.R.E.S) | Moon Haeng Lee
  • 김영식(상명대학교 식물식품공학과, Department of Plant and Food Sciences, Sangmyung Univ.) | Young Shik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