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 피드백이 조준운동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on Control of Aiming Move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8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시각 피드백이 조준 운동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각 피드백 처리시간을 과대 평가할 가능성이 있는 요인들을 통제한 상황에서 시각 피드백과 시각 피드백 관련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다양하게 통제하여 유사한 네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1은 다양한 속도로 수행되는 운동하에서 시각 피드백을 다양한 시점에서 철회하여 시각 피드백이 동작실행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시각 피드백 처리시간을 알아 보려는 의도로 수행하였다. 이와 동시에 시각정보가 일정시간(최소한 250㎳)동안 감각기억(sensory memeoy)의 형태로 표상화되어 기억됨으로써 감각기억에 기초를 둔 동작 제어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실험은 3×5의 2요인 피험자내 설계를 이용하여 시각 피드백과 동작시간 요인을 통제한 가운데 단일 표적조준과제를 이용하여수행하였다. 실험2는 빠른 속도(160㎳)로 수행되는 운동하에서 시각의 철회를, 동작개시를 시점으로 다양하게 지연시켜 시각조건과 비교함으로서 동작 수행 중 시각정보가 어떠한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은 단일요인 피험자내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조건은 시각 피드백을 통제하는 다섯 가지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실험3은 예비신호와 동시에 철회하였던 시각 피드백을 반응신호, 동작개시와 동시에 그리고 동작개시 60㎳후에 부여하여 시각이 조준 동작을 사전에 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 상황에서 동작실행의 정확성을 관찰함으로써 시각 피드백이 동작실행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단일 요인 피험자내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조건은 시각 피드백을 통제하는 네 가지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실험4는 동작거리와 동작시간 그리고 시각 피드백을 통제하는 가운데 동작실행의 정확성을 관찰하여 시각 피드백이 조준운동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2×2×3의 3요인 피험자내 설계가 이용하여 동작거리와 동작시간 그리고 시각 피드백이 통제되는 가운데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일차적으로 반응시간과 동작시간에 의하여 자료로서의 채택 여부를 검토한 뒤에 동작실행의 정확성(동작오차)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각 피드백은 200㎳ 이내에 빠른 시간에 처리될 수 있다. 둘째, 거리오차의 경우 시각 피드백은 동작의 후기 단계에서 중요하며, 방향오차의 경우에는 시각 피드백이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하다. 셋째, 시각조건과 비시각조건 간에서 동작오차의 차이는 150-300㎳의 동작시간에서는 일정하였으나 450㎳의 동작시간에서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동작거리가 길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on control of aiming movements.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minimum visual feedback processing time, the role of visual feedback and the effects of movement distance and movement time on visual feedback processing. Experiment 1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inimum visual feedback processing time. Subjects for the Experiment 1 were 10 males, 28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task in Experiment 1 was single target aiming with stylus. The movement distance was help constant at 35㎝. Experiment 1 was performed in a 3×52-factors within subject design. Experiment 2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ole of visual feedback in movement phase. Subjects for the Experiment 2 were 10 males, 34years old on the average. The task in Experiment 2 was single target aiming, with movement distance held at 40㎝. Experiment 2 was performed in a single factor within-subject design. Experiment 3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ole of visual feedback in movement phase. Subjects for the Experiment 3 were 10 males, 34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task of Experiment 3 was the same as Experiment 1, but under four visual feedback conditions. The movement distance was held constant at 30㎝. Experiment 4 was designed to examine the the effects of movement distances (20㎝, 40㎝) and movement times (150㎳, 300㎳, 450㎳) on visual feedback processing. Subjects for the Experiment 4 were 10 males, 32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task in experiment 4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 1. Experiment 4 was performed with a 2×2×3 3-factor within-subject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1. The time required to process visual feedback was below 200㎳. 2. Visual feedback was more important for the distance error at the final phase than at the initial phase of the movements. 3. Visual feedback was more important for the dirrection error at the initial phase than at the final phase of movements. 4. The differences in movement errors between light-on light-off conditions at the 150-300 ㎳ movement time were constant, while the difference at the 450㎳ movement time increased. The tendency was stronger in 40㎝ movement distance than in 20㎝ movement distance.

저자
  • 정청희 | Jeong Cheong Hui
  • 이강헌 | Lee Gang H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