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tructural Validation of the Expanded 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Model in Jazzercise KCI 등재

재저사이즈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 모델의 구조적 타당화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96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PSPP)은 4개의 하위변인(스포츠 유능감, 신체적 컨디션, 매력적 몸매, 신체적 강인성)과 자기-존중감을 중재하는 1개의 상위변인(신체적 자기-가치)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행동(재저사이즈)을 기저변인으로 포함시킨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의 위계적 구조모델(EPSPP)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EPSPP 모델은 재저사이즈 참여가 PSPP 하위변인들에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자기-가치는 PSPP 하위변인들과 자기-존중감의 중재요인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나아가, 재저사이즈가 신체적 자기가치에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PSPP 하위변인들이 자기-존중감을 직접적으로 예언한다는 대안적 모델이 수립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322명(M=27.7)의 여성 재저사이즈 참여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신체적 자기-지각 및 자기-존중감 그리고 운동 행동 수준은 일련의 질문지들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EPSPP 모델이 대안적 모델보다 더욱 적합한 모델지수들을 보이고 있으며, EPSPP 모델의 변인 간 행로계수들은 모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좀 구체적으로, 이 모델에서 재저사이즈 행동은 신체적 컨디션과 강인성에 강력한 예언력을 보이고 있는 반면, 매력적 몸매와 스포츠 유능감과는 미약한 인과관계를 갖고 있었다. PSPP 하위변인 중에서 매력적 몸매는 신체적 가치를 가장 강력하게 예언하였다. 재저사이즈 참여자들은 실제 자신들의 몸매에 그다지 만족하고 있지 않으나, 매력적 몸매를 가장 중요한 신체개념으로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신체적 자기-시스템의 이론적 기틀과 운동참여 연구의 실증적 관점을 통하여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he expended 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model (EPSSP). In the EPSSP model, Jazzercise was included as a baseline variable toward self-esteem via PSPP variables (sport competence, physical condition, attractive body, and strength). It was hypothesized that Jazzercise behavior would directly predict PSPP variables and physical self-worth would serve to compare with the EPSSP model. Female Aazzercisers (N = 322, age M = 27.7) were administered the PSPP to assess physical self-perceptions at the specific subdomain level and at the domain level (i.e., physical self-worth). Subjects also completed the self-esteem inventory and the exercise behavior questionnai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EPSSP model was superior to the alternative model, demonstrating an acceptable data fit. All paths between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the EPSSP model, Jazzercise was significantly and direc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physical condition and strength, but had less substantive effect on attractive body and perceived sport competent. However, feeling of attractive body related strongly with overall physical self-worth. Thus, the Jazzercise participants might perceive self-percept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oretical and empirical views of physical self-system, and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저자
  • Yoo Jin(Chung-Ang University) | 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