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300 사건관련전위를 통한 대뇌의 피칭운동 연계성 분석 KCI 등재

P300 Event Related Brain Potentials in Response to Pitch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9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ERP의 구성요소인 P300은 자극이 제시된 후 약 300msec 후에 나타나는 양(+)의 전압으로 P300의 잠재기와 진폭은 인지정보처리과정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운동학습제어 분야에서는 ERP와 운동수행과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극이 뇌에 유입되었을 때 나타나는 P300을 여구하여 투수가 던진 볼을 타자가 선구할 때 유발되는 인지정보처리 과정을 연구했다. 피험자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23세의 남학생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자극은 "oddball"과제, 즉 투수가 던진 다섯 가지 구질(안쪽 직구, 바깥쪽 직구, 커브 볼, 슬라이드, 체인지업)을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하여, 동영상을 디지털로 전환시킨 뒤 각 구질이 3.5초간 지속되도록 편집해 사용하였다. 목표자극은 커브 볼이며 제시빈도는 20%(150개중 30개)이고, 표준자극은 바깥쪽 직구로 제시빈도는 80% (150개 중 120개)였다. EEG는 목표자극인 커브볼에 대한 반응 중 정반응(hit)한 것만을 사용하였으며 EOG가 기준 값보다 높게 나온 시행이나, 잡파가 섞인 EEG는 평균화 작업을 통해 소거했다. 실험설계는 과제(2) × 영역(4) × 자극(2)에 대해 3원 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ERP의 진폭과 잠재기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투수의 투구 구질에 따라 타자의 정보처리과정이 다르게 진행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목표자극에서 P300의 진폭이 표준자극에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서는 진폭의 높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서 P300이 변화하지 않는다는 바닥효과가정(floor effect assuption)을 지지한다.

P-300 in an event related brain potential tha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indicator of mental processes such as cognitive function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 P300 occurs approximately 300-1000 ms after simulus onset and measures immediate reaction of the brain, thus it could be a useful tool in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information processing regarding to task relevant stimuli.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P300 event related brain potentials in response to pitching to determine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selective attention and decision making. Forty two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Stimuli used for this study were five different types of pitches (e.g., curve ball 112km/h, inside fastball 135km/h, outside fastball 134km/h, change-up 126km/h, and slider 121km/h) thrown by a professional pitcher to examine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P300 while participants reacted to filmed action. The pitched simuli were filmed using a digital handy camera and each stimulus was edited to equal the amount of time(3.5s) presented(from pitcher`s wind-up to finishing motion) on a monitor in random order. The ratios(frequency) of goal stimulus(i.e., curveball and standard stimul(i.e., inside fastball, outside fastball, slider, chang-up) presented were 20%(30 out of 150) and 80%(120 out of 150) pitches respectively. A 2(Groups)×4(Areas)×2(Stimuli) ANOVAs were used to analyze EEG data, Dependent measures were the latencies and amplitude of ERP on each electrode si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mplitudes of P300 were greater in the goal stimulus than in the standard stimulu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amplitudes of P300 were different among O1, Fz, Pz and Cz. the findings support the previous findings (floor effect assumption) that in general, P300 was not influenced by task difficulty.

저자
  • 김진구(경북대학교) | Kim Jin 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