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포츠 장면에서 목표지향적 정서모델의 타당성 검증 KCI 등재

The Validation of the Goal - Directed Emotion el in Sport Contex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0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인간의 심리를 구성하는 인지, 정서, 동기 중 과거에는 등한시해왔던 정서가 인지와 동기를 이끌 수 있고, 인간의 성취 행동을 이해하는데 목표추구 과정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Bagozzi, Baumgartner, 및 Pieters(1998)는 목표상황, 기대정서, 의지과정, 도구 행동, 목표획득, 목표-결과 정서로 구성된 목표지향적 정서 모델(golf-directde emotion model)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아직 한국의 스포츠장면에서는 검증되지 못한 문제로 인해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등학교 운동 선수를 모집단으로 하였고, 12개의 개인 종목에서 245명, 3개의 단체 종목에서 210명이 표집되어, 총 455명이 본 연구 대상으로 표집되었다. 연구 절차는 시합이 있기 3∼4주전에 목표 확립, 기대 정서, 의지 과정을 측정하였으며, 시합이 끝난 1주 이내에 도구 행동, 목표 획득, 목표-결과 정서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상관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해 목표지향적 정서 모델은 한국의 스포츠 장면에서 적합한 깃으로 나타났다 즉, 목표를 성공하거나 실패할 것으로 기대했을 때 발생하는 기대 정서가 선수들의 의지에 영향을 주고, 이 의지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주며, 이에 따라 목표획득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목표획득은 목표-결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comprise the mind of a human being, emotion neglected in the past can lead cognition and motivation, and goal-pursuing processes are of importance in having an understanding of the achievement behaviors of human beings. In this context, Bagozzi, Baumgartner, & Rieters(1998) presented a goal-directed emotion model, which consists of goal situation, volitional processes, instrumental behaviors, goal attainment and goal-outcome emotion, and verifying its validity. However, this model has yet to be verified in sport contexts. That is why this study is needed.
This paper was picked up high-school students as a population, carrying out stratified random sampling with school. As a result, the subjects were worked with a total of 455 students. Data analyses were resorted to an correlation analysis per variable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verify the goal-directed emotion model.
The result was that the goal-directed emotion model turns out to be suitable to Korean sports area. When they expect to succeed or fail in attaining goals, the anticipatory emotion has an influence on the will of the athletes, which has an impact on actual behaviors, and these behaviors determined goal attainment and goal-outcome emotion.

저자
  • 홍준희(서울대학교) | Hong Jun-Hee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