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정 내 노인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Safety Assessment Scale의 적용: 사례연구 KCI 등재

Clinical Application of the in-Home Safety Assessment Scale for the Elderly: A Case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내 안전성 평가도구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에게 적용해봄으로써 노인의 가정환경 평가를 소개하고, 향후 국내에서의 적극적인 사용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가정 내 안정성 평가도구 중 Safety Assessment Scale(SAS)는 다른 평가도구에 비해 비교적 문항수가 적고, 실시 방법이 간단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에 거주하는 노인 두 명의 가정을 방문하여 SAS 평가를 하였다. 두 대상자 모두 독거노인으로 연령, 인지기능,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Korea; MMSE-K)점수는 유사하였다. SAS 평가결과는 비슷한 인지 수준 의 대상자라고 하더라도, SAS의 점수에는 10점의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1의 경우 대상자 2에 비해 점수가 더 높았고, 즉 이것은 위험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낙상 및 안전사고, 영양 상태의 위험이 컸고 이러한 항목의 중재 및 교육이 필요하였다.
앞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정 내 환경에서의 안전성 평가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의 안전한 가정 내 생활을 위한 중재 수립, 대상자 교육, 나아가 대상자의 가정환경 수정을 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하나로서 SAS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afety Assessment Scale (SAS), apply a home environment evaluation of the elderly, and suggest the in-home application of the SAS. The SAS, which is an in-home safety assessment, has advantages in terms of relatively fewer items and a simple implementation. In this study, an in-home SAS of two elderly people living in Wonju was assessed. Both participants live alone, are about the same age, and have similar cognitive functions an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Korea (MMSE-K) scores. Although they were at a similar cognitive level, there was a 10-point difference between them. After applying the SAS in the home environment, Participant 1 scored 10 points higher than participant 2, that is, Participant 1 was at a greater risk, particularly for falls, accidents, and poor nutrition, and therefore intervention and education regarding these item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an in-home safety assessment for the elderly will become clearer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The SAS will be considered for the application of an established intervention for safe at-home living, education, and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as an available safety assessment.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본 론
  1. Safety Assessment Scale(SAS)
  2. Safety Assessment Scale(SAS)의 적용
 Ⅲ.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임경민(세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im Kyung-M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han University)
  • 안시내(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Ahn Si-N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조상윤(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Cho Sang-Yo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이주현(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Lee Joo-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이휘영(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Lee Hwi-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김재남(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im Jae-Na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정민예(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