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유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우울환자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Combined Healing Exercise Program on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Depressed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3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치유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우울환자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6명의 여성 우울환자를 모집하여 치유복합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환자 8명을 실험집단에 그리고 유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8명을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동적인 유산소성 댄스와 정적인 요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치유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주 2회, 총 8주간(16회기) 한 회기에 100분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t-test와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된 측정 질문지 외에 다른 처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공유하는 집단 소감나누기를 실시하여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에서는 실험집단에서 하위영역인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의 모든 요인에서 사전, 사후 그리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불안은 실험집단에서 하위요인 특성과 상태불안 모두 사전 사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에서는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인 자기지각, 불편감과 정서적 요인 모두 사전 사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집단 소감나누기의 분석 결과, 심리적, 가족적, 신체건강, 환경적, 기타의 4개의 영역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patients with anxiety and depression, and on their quality of life. Of the 16 recruited patients with depression, 8 pati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combined treatment progra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8 patients who did not participate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combined treatment exercise program comprised of dynamic aerobic dances and static yoga twice a week for 8 weeks for a total of 16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100 minutes. 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performed. In addition, in order to as certain the presence of other treatment effect sadditional to a measurement questionnaire,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mpleting a collective testimony session in which individuals` feelings and thoughts were shar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motional, cognitive, motivational and physiological factors that are of the lower dom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experiment and between the groups. Second, concerning anxi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the lower factor characteristics and status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Third, regarding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ositive self-perception, discomfort and emotional factors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experiment,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een between the groups.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group sharing, observed were 4 classified forms of psychological area, family area, physical health area and miscellaneous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been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치유복합 프로그램 구성
  4. 연구절차
  5. 자료분석
 Ⅲ. 결과
  1. 심리검사의 결과
  2. 소감나누기 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Ⅳ. 논의
  1. 심리검사 결과에 대한 논의
  2. 질적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육영숙(성신여자대학교) | Yook young-sook (Sungshin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