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판 신체통찰력척도(K-BIS) 타당화 검증 KCI 등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ody Insight Scale (K-B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64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신체통찰력의 특성을 국내 실정에 맞는 측정도구로 모색하고, 학생들이 신체통찰력의 잠재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준거를 제시하고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신체통찰력척도의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계별로 대학생 총 120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번역,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인동일성 및 잠재평균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외국의 신체통찰력척도를 우리 문화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척도의 번역도입에 따른 절차를 적용하여 검토진의 의견을 반영하고 원본이 가지는 에너지 신체자각, 편안함 신체자각, 내부 신체자각을 포함한 신체통찰력의 의미가 우리 문화에 적합하게 측정되어 총 18문항의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예비검사 결과, 왜도, 첨도, 문항반응 비율에서 문제가 되어 삭제되어야 할 문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정상분포에 위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의 에너지 신체자각, 편안함 신체자각, 내부 신체자각의 하위구조로 탐색되었다. 셋째, 본 검사에서 신체통찰력척도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3요인 구조로 에너지 신체자각, 편안함 신체자각, 내부 신체자각에 대한 모델의 적합성이 검증 되었으며, 타당도의 검증과 요인별 신뢰도 분석 결과 양호하게 나타났다. 넷째, 신체통찰력척도의 구인 동일성 및 잠재평균 분석에서 집단별 공용 검사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집단 간 차이 검증에서 성별, 생활체육 참여유무별, 계열별에 따라 신체통찰력 수준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체통찰력척도는 개인의 몸에 대한 관심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신체감각에 대해 알고 표현하는데 있어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easurement tools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in terms of characterization of body insight, develop for college students and test Korean version of body insight scale, coming up with a basis for students to positively utilize potentials of body insight and provide body insight scales meeting with Korean condi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picked up on a step by step basis a total of 1,202 college students as samples and came up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translation of questionnaires,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struct equivalence comparis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latent means. Firstly, we applied procedures incidental to localization of scale so that existing body insight criteria could be used in our own culture, having working level opinions properly reflected and with meanings of body insight including energy body awareness, comfort body awareness and inner body awareness as contained in the original documents having been measured in a manner meeting with our own culture, thereby securing content validity against a total of 18 questions. Secondly, there appeared to be no questions to be deleted due to problems in terms of skewness, kurtosis and item response ratio, as a result of preliminary test meaning the result was not against normal distribution. Reliability appeared to be good and 3 factors were found to be in the descending order,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irdly, body insight scales of 3 factors structure were tested under this study and models of energy body awareness, comfort body awareness and internal body awareness validat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validity 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against respective item appeared to be good. Fourthly, it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construct equivalence and latent means of body insight scales that they could be utilized as common questionnaires against respective group. As a result of test of difference between groups, gender and depending on whether participating in club sports, depar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insight.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ould say it would be good to keep our health in good conditions by extending our interests in the body through perception of body insight in terms of body awareness. It is considered to be useful scale for us living to positively utilize potentials that aware of view expressed by body sens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설문지 번역과 검토 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원척도의 번역
  2. 예비검사 결과
  3. 본 검사 결과
  4. 집단 간 구인동일성 검증 및 잠재평균 비교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상훈(부산대학교) | Jeong Sang-Ho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표내숙(부산대학교) | Pyo Nae-Sook (Pusan National University)